뷰페이지

[동물박사가 들려주는 동물이야기] <15>응답하라! 사육사여

[동물박사가 들려주는 동물이야기] <15>응답하라! 사육사여

입력 2014-03-21 00:00
업데이트 2014-03-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제 통하냐구요? 동물이 날 믿을 때죠

동물원에는 동물, 그리고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육사가 있다. 동물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 꿈꿨을 법한 직업이다. 물론 동물을 보살피는 게 사육사의 큰 업무이지만 생명을 돌보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사육사가 된 지 길어야 1년 남짓한 파릇파릇한 젊은이들을 만났다. 그들과의 대화에서 방황했던 청춘과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의 만족이 느껴졌다. 조류인플루엔자(AI) 탓에 상처가 아물지 않은 지금, 동물원에 봄을 되찾으리라는 믿음이 쑥쑥 자라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사육사는 동물의 상태를 전문가 못잖게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 그만큼 험난한 길이다. 한 사육사가 돌고래 입을 벌려 구강 건강을 살펴보고 있다.
사육사는 동물의 상태를 전문가 못잖게 파악할 줄 알아야 한다. 그만큼 험난한 길이다. 한 사육사가 돌고래 입을 벌려 구강 건강을 살펴보고 있다.
→어려서부터 동물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나요.

-김진수(대동물관) 오히려 어릴 때 동물을 막 괴롭혔어요. 호기심이 많아서 몹쓸 짓도 많이 하고. 중2 때 비둘기 한 마리가 아이들이 던진 돌에 맞아 날지 못하고 있었어요. 할머니가 아이들을 말리고 비둘기를 집에 데리고 와서 치료를 해줬어요. 그런데 날려 보내려니 안 가지 뭐예요. 정이 들어서 그런다는 게 할머니 말씀이었죠. 동물이 그럴 리 없다고 생각하다가 조금씩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어요. 동물을 위한 일을 하게 만든 계기인 것 같아요.

-고슬기(대동물관) 동물이 지나가면 한 번씩은 쓰다듬거나 만져야 직성이 풀렸어요. 그러다 물리기도 하고. 어렸을 때 동물과 사육사가 나오는 TV프로그램을 보고 사육사라는 직업에 끌렸어요. 고등학생이 되고 진로를 선택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른 게 사육사였어요. 그래서 스무 살 때부터 계획을 세워 군대를 다녀오고, 대학교 1학년 때부터 주말엔 서울대공원에서 실습을 했어요. 2008년부터 쉬는 날이 없었어요. 다른 친구들은 자격증을 따고 다른 경력을 많이 쌓았는데 전 동물원에만 집중했어요.

-김호진(해양관) 전 일어나서 들리는 새소리가 너무 좋았어요. 집에서도 어릴 때부터 토끼, 강아지, 새도 키우고 그랬어요. 남들처럼 좋아만 하다가, 지금은 사랑하게 됐어요. 동물들과 같이 있는 것 자체가 좋아요.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어서 행복해요.

이미지 확대
고슬기(왼쪽부터), 김진수, 김호진씨가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상하씨는 조류인플루엔자(AI) 후속작업 탓에 참석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고슬기(왼쪽부터), 김진수, 김호진씨가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상하씨는 조류인플루엔자(AI) 후속작업 탓에 참석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사육사가 되기까지 평균 5년 걸리던데.

-고슬기 들소사, 아프리카관, 가금사, 곤충관, 사자사를 돌아다니며 경험을 쌓았는데 2년 주기로 엄청 힘들었어요. 다른 사육사들을 보며 ‘내 길이 아닌가’란 생각도 했는데 시작한 지 1~2년밖에 안 된 주제에 좌절한다는 게 창피하기도 했죠. 자격도 갖추지 않았고 경험도 없었으니 당연했어요. 경험을 쌓으며 자신감이 붙었어요. 혼자 동물사에 남았을 때 아찔했는데 이젠 괜찮아요.

-김진수 2008년 여름에 들소사 실습을 시작으로 2009년엔 자원봉사자로 남미관, 곤충관에 있었고 2009년 하반기부터 2012년 상반기까지는 인공포육장에서 기간제 근로자로 근무했어요. 정식 직원이 아니어서 정말 초조했어요. 결혼할 사람도 있었고, 빨리 그만두고 다른 일을 찾아봐야겠단 생각에 여러 대기업에 시험을 보기도 했어요. 그런데 지금까지 쌓은 동물원 경력이 다른 곳에서는 아무 쓸모도 없었어요. 정말 아침에 일어나서 걱정부터 했어요. 중간중간에 자리가 난다는 말도 있었지만 결국 되지 않은 적이 많아서 실망도 많이 했지요. 서울대공원에서만 면접을 여섯 번을 봤거든요. 안 되는 걸 알면서도 제 얼굴을 기억하게 해드리려고 간 적도 있어요. 서울대공원 사육사가 서울시 공무원인지도 몰랐어요. 직원이 되고 싶기보단 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되고 싶었거든요.

이미지 확대
-김호진 저는 계획하고 준비한 대로 잘된 경우예요.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즐기다 보면 기회가 올 것으로 믿었어요. 경력이 없었을 뿐이지 열정과 자신감만 있으면 되리라 믿었죠. 운이 좋게 서울대공원 해양포유류 쪽에 자리가 나서 고민하다가 결국 몸이 반응하는 쪽으로 기울었지요. 후배들에게도 하는 이야기인데, 운이 필요한 것 같아요.

→동물과 교감한다는 게 과연 뭘까요.

이미지 확대
양효진 서울동물원 큐레이터
양효진 서울동물원 큐레이터
-김호진 예전에 이구아나를 키우다가 손을 물려서 스무 바늘 넘게 꿰맸어요. 밥을 주려고 했는데 이구아나는 공격으로 받아들인 거죠. 이후로 어떤 동물이라도 언제 돌변할지 모르는 야생동물이라는 인식을 확실히 했어요. 지금은 동물들을 훈련할 때마다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교감을 느껴요.

-김진수 동물이 나를 믿을 때가 아닐까요. 저는 언젠가부터 동물을 안 믿기 시작했어요. 전에는 항상 믿었어요. 내가 이렇게 잘해주는데 뭔가 알겠지. 하지만 야생동물이기 때문에 어떤 경우든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서 대해야 해요. 저는 동물을 믿지 않아도 동물은 나를 믿도록 해야 해요. 예컨대 코뿔소는 몸을 브러시로 긁어 주는 걸 상당히 좋아해요. ‘이 사람에게 가니까 뭔가 몸이 시원해’해서 저에게 오고 동물 나름대로는 공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를 믿지 않으면 다가올 수 없잖아요.

-고슬기 하마사에 1년 반 정도 있을 때 하마가 위험한 동물이라는 걸 알고 처음엔 가까이 가지 않았어요. 그러다가 아주 조금씩 저에게 익숙해지도록 했어요. 예전에는 하마가 문 앞에 있으면 달려들었는데 차차 달라지는 게 느껴졌어요. 저도 동물은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분명 해주는 만큼 동물은 알 것 같아요. 하지만 자신의 방법만 동물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고집할 순 없어요.

enrichment@seoul.go.kr
2014-03-21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