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新 평판 사회] <5>‘해병대가족 모임’의 신선한 반란

[新 평판 사회] <5>‘해병대가족 모임’의 신선한 반란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15-03-22 18:14
업데이트 2015-03-23 0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원 3만 5000명 그림자 선행… 회비도 비상연락망도 없어요”

‘귀신 잡는 용사 해병/ 우리는 해병대/ 젊은 피가 끓는 정열/ 어느 누가 막으랴/ 라이라이라이라이 차차차.’

이미지 확대
해병대가족 모임 카페 회원들이 22일 서울 중랑구 묵동 한 식당에 모여 카페 운영 방침 등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들은 “전우회 일부에서 넘치는 의욕과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 탓에 이따금 일탈행위를 하지만 후배들이 고쳐나가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해병대가족 모임 카페 회원들이 22일 서울 중랑구 묵동 한 식당에 모여 카페 운영 방침 등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들은 “전우회 일부에서 넘치는 의욕과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 탓에 이따금 일탈행위를 하지만 후배들이 고쳐나가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휴대전화 너머로 시끌벅적한 노랫소리엔 해병대 자부심이 그득 느껴졌다. 통화연결음으로 군가를 쓰는 것이다. 3만 5000여 회원을 자랑하는 ‘해병대가족 모임’ 카페를 지키는 양재헌(62) 회장은 “해병전우회를 흔히들 ‘마피아’라고 부르는데, 우리는 아주 딴판”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자꾸 앞에 나서기를 좋아하는 전우회 일부와 달리 해병대에 보낸 우리 아이들을 지키려고 만든 모임”이라고 덧붙였다. 해병대에서 전역했거나 복무하고 있는 자식을 둔 어머니들이 전체 회원의 70% 가까이 된다.

모임은 2006년 10월 생겼다. 해병대에 아들을 보낸 부모들이 “무언가 좋은 일을 해보자”며 의기투합한 결과다. 한때 해병부대를 돌며 장병기본권 상담사로 뛰던 최상용(60)씨도 한몫 거들었다. 모임 회원이기도 한 최씨는 22일 “악평을 듣는 대한민국 3대 패밀리에 모두 해당하는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해병대 예비역 소령에다 전북 익산 태생, 고려대를 나왔기 때문이다. 최씨는 “하지만 정치권을 기웃거리는 사람들과 담을 쌓았을 정도로, 사회를 위해 봉사하며 살아가겠다는 게 신조”라며 호탕하게 웃었다.

회원들은 해마다 봄·가을 두 차례씩 경북 포항시 천자봉을 찾는다. 오는 28일 오전 11시에도 예정돼 있다. 200~300명씩 모여 해병 훈련소가 자리한 천자봉 꼭대기에 올라 빵과 우유로 끼니를 때우고 내려온다. 해병들이 이곳을 거쳐야 진짜 해병임을 알리는 빨간 명찰을 달 수 있다는 사실을 되새기며 각오를 다진다고 한다.

박순진(62) 부회장은 “다양한 정보를 접하는 육군에 비해 해병대의 경우 폐쇄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 오히려 많은 활동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처음엔 부대에서 ‘폐쇄적이고 요란한 모임 아니냐’는 식으로 껄끄럽게 쳐다봤지만 “문제를 만났을 때 서로 협조하자는 것”이라며 설득한 끝에 분위기를 많이 바꿀 수 있었단다. 툭하면 부대 관련 사고가 터지던 무렵이었다. 회원들이 모여 부대 면회를 가는 것까지 꺼려했다. 속살을 드러내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병사들은 불이익을 받을까 무서워 당연히 찾아 먹어야 할 때도 면회나 외출하는 날짜를 입 밖에 내기 싫어했다고 한다. 평소 “한 사람이 면회나 외출을 가면 다른 동료가 더 근무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해 은연중 부담감을 줬기 때문이다.

박 부회장은 경기 김포 애기봉에 자리했던 부대 관계자 몇몇에게만 알린 채 회원 100여명을 관광버스 3대에 나눠 태우고 부대에 진입했던 일을 잊을 수 없다고 되뇌었다. 부대를 돌아보고 나서야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 당시에도 군부대 생리에 밝은 최씨가 모임과 부대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해냈다.

병영사고에 따른 사망자 발생 땐 십시일반 돈을 거둬 유족들에게 건네기도 한다. 2007년 3월엔 해병 1사단 자주포 전복사고로 숨진 병사를 기리기 위해 찾아갔지만 유족들의 극렬한 반대에 가로막혀 전달하지 못하고 되돌아와야 했다. 이후 2011년 7월 2사단 총기탈취 사고로 4명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은 때를 비롯해 15차례에 걸쳐 500만~900여만원씩 성금을 냈다. 모두 6000만원 남짓이다. 끼리끼리 뭉쳐 힘을 과시하고 목소리를 높이는 일부 군 출신 모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박 부회장은 “조그맣더라도 대가를 바라고 활동하지는 않지만 부대장이나 간부에게 고맙다는 인사말을 들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며 “언젠가 부대에서조차 모르는 일을 알려줘 병영의 문제점을 해결한 뒤 부둥켜안고 울기도 했다”고 말했다.

최씨는 인천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상담사로 일하며 병사 67명과 인연을 맺었던 기억을 떠올렸다. 그는 ”어린 군인들이야말로 국가적인 인재라는 생각에 꿈을 키우는 10단계 프로그램을 개발해 열매를 맺었다”고 소개했다. 전남 순천에서 사는 한 제대군인은 “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의 강의를 들은 뒤 전공을 바꾸는 도전에 나서 성공했다고 귀띔했다. “한의학과를 졸업해 결국 최근엔 국가고시를 통과했다는 소식을 듣고 부모처럼 기뻤다”며 최씨는 활짝 웃었다. 최씨는 아직도 해병대 간부 등을 대상으로 각 분야 전문가를 연결해 리더십 강의를 하고 있다. 그는 또 해병대가족 모임에 대해 “새로운 전통을 가꾸려는 의지로 똘똘 뭉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도 “회원이라고 해서 회비를 따로 걷는 등 부담을 전혀 주지 않으려고 애쓴다. 여느 모임에 흔한 비상연락망도 없다”고 말했다. 평소 저마다 생활에 열중하다가 사안이 생기면 온라인 카페를 통해 이심전심으로 모여든다고 한다.

글 사진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3-23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