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시작된 이재용의 삼성… ‘ICT·금융’ 양대 축 지배구조 청사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시작된 이재용의 삼성… ‘ICT·금융’ 양대 축 지배구조 청사진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05-26 23:38
업데이트 2015-05-27 0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일모직·삼성물산 왜 합쳤나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결의는 ‘이재용 체제 굳히기’로 평가된다. 그동안 삼성전자 등 주력 사업에 대한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지배가 이번 합병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바뀜에 따라 이재용 중심의 지배구조가 한층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삼성물산
삼성물산  
이미지 확대
제일모직
제일모직  
26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으로 이 부회장은 합병 회사인 ‘합병 후 삼성물산’을 통해 그룹의 주력인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를 강화한다. ‘이재용의 삼성’은 장기적으로 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ICT)·제조와 생명을 중심으로 하는 금융을 양대 축으로 하는 지배구조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이 부회장은 제일모직 지분 23.23%를 가진 제일모직의 최대주주다.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주식 4.06%를 갖고 있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하면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을 통해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게 된다. 이 부회장의 전자 지분은 5월 현재 0.57%다.

실제 제일모직은 오너 일가의 삼성그룹 지배 정점에 있는 지주회사 격이다. 오너 일가는 현재 제일모직을 통해 다른 계열사들을 복잡하고 간접적인 형태로 지배하고 있다. 5월 현재 이 부회장 등 오너 일가와 관련 계열사가 제일모직의 대주주(52.24%)로 있으면서 삼성생명을 지배하고, 삼성생명이 삼성전자를, 삼성전자가 다시 삼성물산·삼성전기·삼성SDI 등을, 이 회사들이 다시 제일모직을 지배한다. 하지만 이번 합병으로 ‘이재용 일가→삼성물산(통합회사)→삼성생명·삼성전자’로 순환출자 구조가 단순화된다.

합병으로 통합회사에 대한 대주주 지분 변동이 있지만 오너 일가의 최대주주 지위는 확고하다. 이 부회장 보유 지분은 합병 전 제일모직 23.2%에서 합병 후 삼성물산 16.5%로 바뀐다. 동생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제일모직 패션부문 사장의 지분은 합병 전 각각 제일모직 7.8%에서 합병 후 각각 삼성물산 5.5%로 바뀐다. 합병 후 삼성물산에 대한 오너 일가 지분 합계는 30.4%다. 여전히 공정거래법상 내부거래의 규제 대상이다. 제일모직은 그룹의 또 다른 주력인 삼성생명의 대주주 지위도 있다. 제일모직이 삼성생명 지분 19.3%를 보유하고 있고,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 7.21%를 가지고 있다.

앞서 이 부회장은 이달 중순 그룹의 상징적인 자리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문화재단 이사장을 부친인 이건희 회장에게 물려받아 상징적으로 이재용 시대를 열었다. 삼성문화재단은 생명 지분 4.68%, 삼성생명공익재단은 생명 지분 2.18%를 갖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말 삼성생명 지분 0.06%를 취득했다. 이번 합병으로 상징적인 지배에서 더 나아가 삼성생명에 이어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실제적으로 강화하는 식으로 그룹 장악력을 확대했다는 평이다. 재계에서는 향후 전자와 SDS 합병 등을 통해 이 부회장의 지배권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의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지배는 각종 견제와 규제에 노출돼 있다”면서 “이번 합병으로 이재용의 지배구조가 한층 더 확고해졌다”고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5-27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