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19] 어느 납자의 환속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19] 어느 납자의 환속

김성호 기자
입력 2015-10-28 14:50
업데이트 2016-02-12 18: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간에 한 스님의 환속이 화제다. 웬만한 일반인도 이름만 들으면 ‘아 그 스님’하고 금세 알아차릴 조계종 스님 혜문(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이 주인공이다. 이런 저런 문화재 환수 운동에 앞장 서며 승속 모두에 이름을 꽤 알렸던 납자(衲子)가 돌연 환속을 했다니 놀라움의 탄성이 요란한 게 당연해 보인다. ‘애를 낳았고 더 이상 스님 신분을 유지할 수 없다’는 환속의 선언에 네티즌들의 ‘놀라움 반, 질타 반’의 댓글이 연신 쏟아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2011년 혜문 스님이 자신의 저서 ‘되찾은 조선의 보물, 의궤’ 출판 기자회견에서 책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지난 2011년 혜문 스님이 자신의 저서 ‘되찾은 조선의 보물, 의궤’ 출판 기자회견에서 책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불교계에 그 파격의 환속 소문이 돌았던 건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모 스님이 결혼해 애를 낳았고 조만간 환속 선언을 한다더라’던 그 소문 말이다. ‘설마 그 스님이’라는 의심이 현실로 드러난 건 얼마 전 당사자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두 차례에 걸쳐 “최근 결혼해서 아이 낳고 잘 살고 있다”고 충격적인 글을 남기면서였다. “나는 더 이상 스님이 아니다”라며 스님 호칭 빼줄 것을 거듭 요구하기도 했다. ‘세상 잘못 50가지를 바로 잡겠다는 부처님과 약속을 지켰으니 승복 벗고 자유롭고 평범한 인간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꽤 명분있는 환속의 이유로 들린다.

혜문 “세상 잘못 50가지 바로 잡았으니...” 불교계 “절 싫으면 중이 떠나는 법”
 조계종 종단 관계자들은 일반의 들썩임과는 다르게 시큰둥하다. ‘비구도 아닌 스님이 환속한다는데 뭐 그리 호들갑이냐’는 투의 싸늘한 반응 일색이다. 실제로 혜문은 사미계를 받았지만 비구계를 받지 않은 사미승의 신분이다. 조계종 승적을 갖고 있긴 하지만 비구 종단에서 정식 비구계를 수지하지 않은 스님인 터라 그닥 좋은 대우를 받진 못했다는 게 종단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절 싫으면 중이 떠나는 법’이라는 승단의 냉담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실망감’‘배신감’운운의 반응을 이어감은 그간 혜문의 종적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혜문은 꽤 많은 일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승단의 스님들이 별로 눈길을 주지 않았던 해외의 우리 문화재 환수 운동에 주도적으로 나선 건 그 대표적인 업적이다. ‘빼앗긴 우리 문화재를 원래의 자리에 돌려놓자’는 그의 환수 운동은 적지 않은 성과를 냈다. 2006년 도쿄대학으로부터 돌려받은 ‘조선왕조실록’ 47책과 2011년 일본 궁내청으로부터 환수한 ‘조선왕실의궤’ 등 1205책은 일반인도 잘 아는 대표적 환수 문화재로 통한다. 그 뿐인가 한국전쟁 와중에 사라졌던 대한제국 국새(國璽)며 조선왕실어보를 미국에서 찾아내 반환결정을 이끌어낸 주역이기도 하다.

●문화재 환수의 상징, 거침없는 개혁행보... 대처-은처승 비난하던 그가...
 ‘문화재 환수의 상징’격 스님이란 점 말고도 혜문이 종단에서 보인 개혁의 거침없는 행보는 일반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환속 소문이 퍼지면서 혜문은 이런 저런 변명 아닌 변명에 나서고 있는 눈치다. 애를 낳은 시점이며 환속의 명분 밝히기에 바쁘다. 오래 전 애를 낳았다는 소문과는 달리 최근 애를 낳았고, 자신이 출가해 몸담았던 봉선사의 주지 인선이 환속의 주 이유란 해명에도 나서는 입장이다. 지금 봐선 그런 변명과 해명이 소문과 화를 더 키우는 듯 하다.

 전북 군산에는 독특한 일본식 사찰이 하나 있다. 고은 시인이 출가했다는 동국사이다. 고은 시인은 출가해 동국사에서 살면서 법당 앞 만리향의 향기를 즐겼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 속엔 당시의 만리향 소회가 적지 않게 등장한다. 많은 이들에게 그 만리향의 향기는 향기에 머물지 않은, 초심의 회상 쯤으로 읽히곤 한다. 고은 시인은 환속 한 뒤에도 가끔씩 동국사를 찾았다고 한다. 환속 시인의 옛 초심 추스리기가 아닐까 한다.

일반인들의 엄격한 출가승에 대한 기대가 컷던 탓인가
 흔히 출가한 스님들은 납자라 불려진다. 사람들이 쓰레기로 버린 낡은 헝겊을 이것저것 모아 빨아서 기워 꿰매거나 누벼 회색물을 들인 납의(衲衣)를 입은 사람들. 비구나 비구니들이 스스로를 낮춰 부르기도 하는 이 말은 청정한 출가자의 상징이다. 혜문 납자의 환속을 향한 일반의 심중은 바로 그 엄격한 출가승에의 기대가 무너진 탓이 아닐까. ‘불교계의 좋은 인재를 잃었다’는 네티즌들의 토로가 그래서 더 안타깝다.

김성호 선임기자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