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지연의 직장인을 위한 서바이벌 IT](10) 사물인터넷, 공간을 연결하다

[김지연의 직장인을 위한 서바이벌 IT](10) 사물인터넷, 공간을 연결하다

입력 2015-11-10 10:25
업데이트 2015-11-10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도는 인류의 역사이자 문명의 기억이라고 한다. 기원을 따지면 초고대 문명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 2013년 낡은 지도 하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513년 오스만 제국의 ‘피리 레이스’라는 해군 제독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세계지도이다. 거기에는 19세기 이후에 발견된 남극 대륙이 포함되어 있었다. 더 이해할 수 없는 점은 수천 년 전 얼음으로 뒤덮이기 전 남극 대륙의 해안선과 강들을 상세하게 그렸다는 것이다. 1949년 남극 조사대가 지진 탐사를 통해 발표한 지도와 놀랍도록 일치하여 또 한 번 충격을 주었다. 하지만, 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해 오파츠(OOPARTS, Out-of-Place Artifacts), 즉 역사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아 ‘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유물’로 치부되어 왔다.

문명 이전에 초고대 문명이 있었는지 알 길은 없지만, 지도는 그렇게 오래도록 우리와 함께 지내왔다. 20세기 이후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지도를 손바닥 안의 휴대전화 속에 집어넣었다. 지구를 빙빙 돌리면서 어디든지 볼 수 있고, 가보지 않아도 막히는 길을 아는 천리안이 생긴 것이다. “충분히 발달한 과학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는 영국의 작가 아서 클라크의 법칙이 증명된 셈이다. 사물인터넷 시대에 지도는 또 어떤 변신을 할지 들어가 보자.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다음 세 가지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첫째는 아무 때나 보고 싶은 영화를 보여주는 주문형비디오(VOD, Video on Demand)처럼 ‘요구가 있으면 언제든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디맨드(on-demand)’다.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나오듯이 스마트 기기를 누르면 가사, 운전, 의료 등 원하는 서비스가 쏟아지는 세상을 말한다.

두 번째는 대부분의 시간을 주차장에서 보내는 자동차나 사용하지 않는 빈방처럼 낭비되는 자원을 활용한다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다. 요즘 대박이 난 우버나 에어비앤비 같은 스타트업이 이를 영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한계비용 제로 사회’의 저자 제러미 리프킨은 “사물인터넷은 공유사회의 소울메이트”라고 했다. IT 기술과 연관이 깊다는 의미겠다. 세 번째는 배달앱, 부동산앱, 모바일 쿠폰 서비스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O2O(online to offline)’다. 이제는 스마트기기를 들고 고객이 서 있는 곳이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되었다.
 그렇다, 답은 ‘위치(Location)’다.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 정보가 이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시내버스 도착안내 서비스도 버스가 어디 있는지 알아야 하고, 할인 쿠폰도 고객이 매장 앞에 올 때 쏘아주어야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인터넷이 사용자의 시간 뺏기 경쟁이었다면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공간을 선점해야 한다. 검색 서비스, SNS에 이어 IT 기업들의 격전지가 공간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로 옮겨가고 있다. 이를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인수전도 치열하다.

이미지 확대
On-Demand Economy(출처 Economist)
On-Demand Economy(출처 Economist) On-Demand Economy(출처 Economist)
 애플은 2012년 아이폰에서 구글맵을 지우고 애플맵으로 바꾸려던 시도가 부실한 지도로 인해 참담한 실패로 돌아갔다. 마침내 CEO인 팀 쿡이 공개사과를 하고, CNN이 선정한 ‘올해 최악의 기술 1위’에 오르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애플은 지도 서비스 관련 기업을 집요하게 사들였다. 맛집이나 명소를 추천해 주는 로케이셔너리, 대중교통 앱 업체 핫스탑과 엠바크, 실내 위치 서비스의 와이파이슬램, 브로드맵 등 5개를 줄줄이 인수했다. 올해 5월에는 GPS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보유한 ‘코히어런트 내비게이션’까지 인수했다. 이쯤 되면 공간을 점령하기 위한 전쟁 준비 수준이다.
 지도의 제왕은 역시 구글이다. 10년 전 웨어2테크놀러지를 인수하면서 구글 맵스(Maps)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위성지도 구글 어스(Earth), 길거리는 물론 바다 속까지 보여주는 스트리트 뷰(Street View), 별자리 앱 스카이 맵(Sky Map), 실내 지도인 구글 인도어(Indoor)까지 지도 기술의 끝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페이스북, 애플과의 경쟁 속에서 이스라엘판 김기사로 불리는 웨이즈(Waze)까지 13억 달러에 사들였다. 구글의 핵심 사업이 검색이 아니라 위치기반 서비스라는 말이 나올 만하다.

이미지 확대
Google Waze(출처 Google)
Google Waze(출처 Google) Google Waze(출처 Google)
 중국의 IT 삼인방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도 지도 서비스에 뛰어들었다. 바이두는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알아내는 핀란드의 인도어아틀라스(Indoor Atlas)에 1000만 달러를 투자하였다. 이에 질세라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 지도 앱 업체인 오토내비(高德)를 15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6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위챗의 텐센트도 메신저에 소셜 정보를 결합하기 위해 음식점 리뷰 사이트인 디엔핑(点評)에 4억 달러를 투자했다. 지난 2월에는 텐센트가 투자한 디디다처(滴滴打車)와 알리바바가 투자한 콰이디다처(快的打車)가 합병을 통해 중국판 우버인 140억 달러 기업 ‘디디콰이디(滴滴快的)’가 탄생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중국판 우버, 디디콰이디(출처 cnews365)
중국판 우버, 디디콰이디(출처 cnews365) 중국판 우버, 디디콰이디(출처 cnews365)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전개 방향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하나는 실외에서 실내로 공간의 확대이고 또 하나는 가상 세계와 현실 공간의 연결이다. 안과 밖, 가상과 현실을 뛰어넘어 어디서나 끊김 없이 매끄러운(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사물인터넷 시대의 지도 서비스이다. 지금까지는 GPS(위성항법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차 내비게이션, 항공기나 선박의 운항, 군사 분야와 같이 주로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점차 실내 공간이 대형화되고 지하 공간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가 생겨나고 있다.
 2013년 애플이 실내에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아이비콘(iBeacon)을 선보인 이후 비콘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비콘은 ‘신호를 보내는 장치’라는 뜻인데 등대, 봉화, 구급차의 경광등도 모두 비콘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지구 자기장 등을 이용해서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칭한다. 지난 7월에는 구글도 에디스톤(Eddystone)이라는 비콘을 발표하여 애플에 도전장을 던졌다. 비콘은 동전만 한 크기로 대략 반경 50m까지 신호를 전송하고 그 범위 내에 있는 스마트폰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쇼핑몰에서 상점을 지날 때 할인쿠폰이나 이벤트 메시지를 보내주기도 하고 박물관에서 전시물 앞에 서면 관련 정보를 휴대전화로 보여준다. 애완동물이나 가방에 비콘을 붙여두면 잃어버릴 염려도 없고, 복잡한 쇼핑몰이나 지하 공간에서 길을 알려주는 실내 내비게이션(indoor navigation)역할도 한다.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는 이런 실내 위치정보 시장 규모가 2016년 4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eddystone beacon(출처 Google)
eddystone beacon(출처 Google) eddystone beacon(출처 Google)
이런 예측이 실현되려면 아직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것들도 있다. 필요할 때 보내주는 쿠폰은 반갑지만 원하지 않을 때 쏟아져 들어오는 홍보성 쿠폰은 스팸으로 간주되기 쉽다. 또 비콘을 사용하려면 블루투스가 켜져 있어야 하는데 사용자들이 배터리 소모 때문에 꺼두는 것도 확산에 걸림돌이 된다. 또 서비스 업체별로 수많은 앱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다. 결재와 같이 금융분야에 사용하려면 취약한 보안문제도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이러한 불편과 본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거부감을 극복할 만한 사용자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R&D경영연구소 소장 jyk9088@gmail.com
 약력▪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연구임원(전) ▪ 중국삼성연구소 소장(전)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박사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