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화상보다 뚜렷한 고흐의 민낯을 보다

자화상보다 뚜렷한 고흐의 민낯을 보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2-05 16:36
업데이트 2016-02-0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가 반 고흐 이전의 판 호흐/스티븐 네이페·그레고리 화이트 스미스 지음/최준영 옮김/민음사/972쪽/4만 5000원

‘선명한 색채와 정서적인 감화로 20세기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후기 인상주의 작가’. 네덜란드 태생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에 얹히는 도식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고흐를 향한 일반의 관심과 인기는 그 단편적 평가를 훨씬 뛰어넘는다. 동서양을 막론해 가장 선호되고 자주 회자되는 천재 화가이지만, 고흐는 정작 당대의 사람들에겐 철저히 외면받았던 비운의 인물이다. 대중들과 많은 비평가들은 그를 광인 취급하기 일쑤였고 심지어 어떤 신문의 부고 기사는 그의 작품을 ‘병든 정신의 표현’으로 악평했다.

이미지 확대
반 고흐가 자신의 작품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이라 평했던 말년 작 ‘사이프러스나무가 있는 밀밭’(1889년). “나는 나의 그림과 같다”고 늘상 외쳤던 반 고흐의 작품 대부분엔 그의 삶과 일관된 신념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민음사 제공
반 고흐가 자신의 작품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이라 평했던 말년 작 ‘사이프러스나무가 있는 밀밭’(1889년). “나는 나의 그림과 같다”고 늘상 외쳤던 반 고흐의 작품 대부분엔 그의 삶과 일관된 신념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민음사 제공
당대와 후대에 극적으로 엇갈리는 빈센트 반 고흐, 그는 과연 누구였을까. 1991년 ‘잭슨 폴락-미국의 전설’로 퓰리처상을 공동 수상한 두 전기전문 작가가 펴낸 ‘화가 반 고흐 이전의 판 호흐’는 그의 삶과 작품을 다시 바라보자는 고흐의 재구성이다. 그 핵심은 인간 고흐의 민낯 들춰내기로 압축된다. 책 제목에서 판 호흐라는 네덜란드식 이름을 쓴 건 선입관을 걷어낸, 있는 그대로의 실체 규명이란 암시로 다가온다.

이미지 확대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


이미지 확대
대대로 예술가와 성직자를 배출해낸 명문가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고집스럽고 별난 행동으로 부모와 반목을 일삼았던 가정의 외톨이, 강한 종교적 열망에도 불구하고 설교자로 수용되지 못했던 이단아, 갈망했던 여성들에게 번번이 거절당한 사랑의 실패자, 화가의 삶을 살면서도 이웃의 조롱을 받았고 동료들에게 외면받기 일쑤였던 이방인…. 판 호흐가 남긴 2000통의 편지며 900점의 유화 등 방대한 자료를 조직검사하듯 촘촘하게 분석한 책의 중요한 부분은 역시 화가 판 호흐를 지탱하고 존재하게 한 으뜸 요소였던 예술관 다시 보기이다. 생전 늘상 ‘나는 나의 그림과 같다’고 외쳤던 판 호흐는 여러 서간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나는 내가 느끼는 것을 그리고 싶다. 그리고 내가 그리는 것을 느끼고 싶다.” 작품은 바로 작가 자신이었음을 대변하는 말이다.

실제로 판 호흐 자신이 ‘내가 그린 것들중 가장 탁월한 작품’이라 언급했던 말년 작 ‘사이프러스나무가 있는 밀밭’(1889년)을 찬찬히 들여다보자. 불길처럼 흔들리는 들, 타오르는 나무, 소용돌이치는 하늘은 격정의 삶을 대변하면서도 색상들의 독특한 율동과 오묘한 조화로써 섬세한 감수성과 평온을 엿보게 한다는 게 공통의 평가다. 그가 남긴 숱한 자화상 역시 ‘나는 나의 그림과 같다’는 신념의 일관된 표출이다. 짧게 깎은 머리칼과 날카로운 시선, 차가운 무채색 배경의 ‘자화상, 고갱에게 헌정’(1888년) 속 판 호흐의 얼굴엔 동료를 간절히 소망하는 고독한 화가의 날선 긴장이 역력하다. 그런가 하면 아를의 노란 집에서 고갱을 기다리던 시절 그린 ‘해바라기’에는 일방향적 애정과 강렬한 꿈이, 프로방스 생레미에서 요양하던 시절의 ‘사이프러스나무’(1889년) 속 구불거리는 녹색 곡선엔 번민과 희망이 뒤얽힌 혼란한 심경이 고스란히 담겼다. 말년 작 ‘오베르 교회’(1890년)의 청색과 백색은 얼마 남지 않은 여생을 암시하듯 창백하다. 유독 여러 번 그렸던 주제인 ‘씨 뿌리는 사람’은 밀레의 ‘씨 뿌리는 사람’처럼 기독교 정신의 영향이 배어 있다.

“사람들이 내게 바다로 나가는 게 위험하다고 말할 때면 심사가 뒤틀린다. 위험의 한가운데에 안전이 있는 법이야.” 늘상 배려해 준 평생의 파트너인 동생 테오에게 전했다는 유명한 말. 1000쪽에 가까운 거창한 평전인 이 책은 ‘습작은 파종과 같다’며 늘상 노력하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판 호흐의 왜곡상과 환상 걷어내기라는 두 마리 토끼를 좇은 듯하다. 그 치밀한 다시 보기를 통해 두 저자가 매듭짓는 평은 이렇다. “지칠 대로 지친 생으로부터 계속 뿜어져 나온 이미지 속에서 핀센트(빈센트)의 격렬하고 도전적인 기질은 가장 화려하게 드러났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02-06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