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CT, 농부가 되다] 좁은 케이지 벗어난 젖소와 돼지… 복지 좋아지니 생산 늘었다

[ICT, 농부가 되다] 좁은 케이지 벗어난 젖소와 돼지… 복지 좋아지니 생산 늘었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7-18 23:28
업데이트 2016-07-19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CT로 착유 자동화한 젖소 농장… 동물 복지 규제 따른 양돈 농장

네덜란드 남동부 림뷔르흐주 제버넘에 위치한 젖소 농장 후버 로사는 2000년 정보통신기술(ICT) 설비를 도입해 착유 과정을 자동화했다. 착유 과정이 자동화되면서 젖소를 억지로 몰아 좁은 케이지에 들어가게 해 젖을 짤 필요가 없어졌다. 또 젖소의 귀에 센서를 부착해 젖소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했다. 젖소를 비교적 넓은 축사에 자유롭게 풀어 놓았다. 그러자 젖소가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면서 양질의 우유가 생산됐다.

이미지 확대
사료 먹으러 가는 통로에서 건강 체크
사료 먹으러 가는 통로에서 건강 체크 네덜란드 노르트브라반트주 로스브룩의 자동화 양돈 농장에서 돼지들이 사료를 먹기 위해 통로를 줄지어 지나가며 자동 사료 배급 장치로 향하고 있다. 돼지가 자동 사료 배급 장치에서 사료를 먹을 때 감지기와 센서가 돼지의 체중, 건강 상태, 발정 여부 등을 체크한다. 이상이 있을 경우 일반 축사가 아닌 특별 축사로 이어진 문이 열려 돼지가 그쪽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달 15일 후버 로사 농장에서 만난 폰스 케르스턴 대표는 “농장 동물이 행복해야 농장주도 행복해진다”면서 “착유 자동화 이후 농가 소득이 올랐다”고 웃었다. 유제품류와 육류 수출에 있어 세계 3, 4위를 기록하고 있는 ‘축산·낙농 강국’ 네덜란드는 케르스턴 대표와 같이 스마트팜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동물 복지 증대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네덜란드 스마트팜 설비 1위 업체인 네답의 얀 오르트 매니저는 “네덜란드 축산 농가의 35~40%가 ICT로 제어되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했으며 도입 비율은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전 세계 자동화 축산 농가 비율이 3%인 것에 비교했을 때 네덜란드 축산업에서 ICT 보급률은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2000년 아버지가 갑작스럽게 돌아가시면서 젖소 농장을 물려받게 된 케르스턴 대표는 경영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 착유, 사료 배급, 분뇨 처리 과정을 자동화하는 설비를 도입했다. 젖소를 기존 100마리에서 200마리로 늘렸다. 대신 인력을 최소화해 평상시에는 케르스턴 대표 혼자서 젖소 200마리와 육우 130마리 규모의 농장 전체를 관리한다. 관리 인력은 케르스턴 대표 혼자지만 축사는 사료 배급기와 분뇨 처리기가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유지된다. 젖소가 매일 세 번 공급되는 특별식을 먹으러 스스로 착유기 안으로 들어가면 착유기는 자동으로 우유를 짠다. 그는 축사 밖에서 스마트폰으로 사료 배합 비율과 사료 배급량을 설정하고 젖소의 건강 상태와 발정 여부를 파악한다. 케르스턴 대표는 “조금 과장을 섞어 말하면 견학 온 사람에게 축사를 보여줄 때 외에는 축사에 들어갈 일이 거의 없다”며 웃었다.

16년이 지난 현재 케르스턴 대표의 투자는 대박이 났다. 2000년 농장을 물려받을 당시 1마리당 연평균 우유 생산량이 8000ℓ였지만 지난해에는 1만ℓ로 25% 증가했다. 또 암소가 새끼를 낳은 뒤 다음 새끼를 낳을 때까지 기간을 20여일 단축해 출산율을 높일 수 있었다.

출산율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소의 움직임을 파악해 발정기를 알 수 있는 걸음측정센서 덕분이다. 암소는 평소 하루 3000보를 걷는데 발정기에는 걸음수가 증가한다. 사람은 암소가 1일 1만보로 걸음수가 늘어나야 발정기임을 판별할 수 있지만 암소에게 센서를 부착할 경우 4000보까지 걸음수가 늘어나면 바로 발정기임을 파악해 최대한 빨리 수정시킬 수 있다.

설비업체인 네답의 오르트 매니저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면 사료를 절감하고 출산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평균 10%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팜의 초기 비용이 높지만 생산성 또한 높아 스마트팜 농가는 평균 1.5년 안에 투자비를 회수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비싼 돈을 들여 첨단 설비를 도입하더라도 반드시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케르스턴 대표는 “스마트팜 운영 시스템과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첨단설비 설치만으로 이익을 내지 못할 것”이라며 “ICT 관련 지식을 쌓고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스마트팜 성공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후사 로바 농장으로부터 북서쪽으로 약 50㎞ 떨어진 로스브룩의 양돈 농장은 동물 복지 규제 때문에 ICT 자동화 설비에 투자한 경우다. 네덜란드를 비롯해 유럽연합(EU)은 인간이 동물에게 하는 행위에 대해 인도적인 규범을 따르도록 하는 동물복지 개념을 일찍부터 도입했다.

EU는 축산업 분야에서는 돼지와 소 1마리당 최소한 확보해야 할 축사 공간을 규정하고 있으며, 돼지와 소를 단독 우리에 가둬 기르는 것을 금지하고 일정 개체수 이상이 함께 모여 생활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 농장에서는 돼지 귀에 센서를 이식해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 돼지 상태를 관리해 이전보다 넓은 축사에서 많은 돼지를 기를 수 있게 됐다.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는 돼지를 구분하기 힘들어 소수의 돼지를 작은 축사에서 기를 수밖에 없었다. 농장 대표인 마르얀 기버스는 “동물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스마트팜을 도입했지만 생산성 증대 효과도 누리고 있다”면서 “개체당 차지하는 면적도 넓어져 돼지가 편하게 사료를 먹고 새끼를 낳아 생산성도 높아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글 사진 제버넘·로스브룩(네덜란드)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07-19 1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