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 시간여행] 공기놀이가 사라진 뒤

[이호준 시간여행] 공기놀이가 사라진 뒤

입력 2016-11-22 20:38
업데이트 2016-11-22 2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어느 야외 결혼식장. 초겨울 날씨치고는 따뜻했지만, 아이는 지루한 듯 자꾸 칭얼거렸다. 주변 눈치가 보인 아이 아빠가 얼른 휴대전화를 쥐여 주었다. 아이는 금세 휴대전화기 속으로 빠져들었다. “또 핸드폰!” 아이 엄마가 낮은 목소리로 핀잔하며 남편에게 하얗게 눈을 흘겼다.

요즘 아이들은 컴퓨터나 게임기 같은 도구가 없으면 놀 줄을 모른다는 말이 실감 나는 장면이었다. 친구보다는 가상세계 속 상대와 노는 것에 익숙하다. 물론 장난감을 직접 만들 줄 아는 아이는 거의 없다. 몇십 년 전만 해도 세상 자체가 놀이터였다. 사내아이들은 썰매든 연이든 딱지든 스스로 만들어 놀았다. 여자아이들도 마찬가지였다. 기껏해야 고무줄이나 살까, 소꿉놀이 도구나 공깃돌 같은 것은 스스로 구했다.

여자아이들이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게 공기놀이였다. 손에 맞는 작은 돌 다섯 개만 구하면 해결되니 그럴 수밖에. 공기놀이는 지역마다 이름이 달랐다. 경상북도에서는 ‘짜게 받기’, 경상남도에서는 ‘살구’, 전라북도에서는 ‘공기 따먹기’, 전라남도에서는 ‘닷짝걸이’라고 했고 그 밖에 ‘좌돌리기’ ‘조개질’ ‘좌질’ 등으로도 불렀다.

순서는 대개 비슷했다. ‘초집기’는 다섯 개의 공깃돌을 쥐어 바닥에 뿌리는 것이다. 그중 한 알을 집어 던져 올리는 동시에 나머지 네 알 중 한 알을 얼른 집고 내려오는 돌을 받는다. 나머지도 같은 방법으로 하나씩 집는다. 돌을 집을 때 옆의 돌을 건드리거나 던진 돌을 잡지 못하면 실격이다. ‘두집기’는 공기알을 두 알씩 집으면 되고, ‘세집기’는 세 알을 집은 다음 한 알을 집든가, 반대로 한 알을 먼저 집은 후 세 알을 집는다. ‘막집기’는 손에 다섯 알을 쥐고 한 알을 위로 던지면서 나머지 돌을 바닥에 놓은 다음 떨어지는 돌을 받는다. 이어 받은 돌을 위로 던지면서 바닥에 놓인 네 개의 돌을 쓸어 쥐는 것과 동시에 떨어지는 돌을 받는다.

이렇게 네 알 집기까지 끝나면 ‘꺾기’에 들어가는데, 먼저 다섯 개의 공깃돌을 던져 손등으로 받는다. 이때 손등에 얹힌 돌이 셋이면 3년, 다섯이면 5년으로 계산하는데 손등에 얹힌 돌을 그대로 띄운 다음 공중에서 낚아챈다. 손등에 공깃돌이 얹히지 않거나 던진 돌을 모두 잡지 못하면 실격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한 점수를 먼저 난 사람이 이기게 된다.

공기놀이의 기원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무척 오래된 놀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땅에서도 꽤 오래전부터 즐겨 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이규경(李圭景)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아이들이 둥근 돌알을 가지고 노는 놀이가 있어 ‘공기’라고 한다”는 내용이 있다.

1980년대 이후 TV가 보급되고 각종 장난감이 쏟아지면서 전래 놀이들이 하나둘 외면받기 시작했다. 그렇게 자취를 감추게 된 놀이 중 하나가 공기놀이다. 물론 요즘도 문방구에서 플라스틱 공깃돌을 판다. 가끔 공기놀이를 하는 아이들도 있다. 하지만 이미 놀이의 주류는 아니다. 놀 틈이 없거나 휴대전화와 컴퓨터에 공기놀이보다 훨씬 재미있는 것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정서’라는 말보다 ‘중독’이라는 말이 더 흔하게 들리는 시절 놀이를 통해 배우던 질서와 소통은 누구도 가르쳐 주지 않는다. 아이들이 놀던 공터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허리 굽은 노인이 먼 하늘에 빈 시선을 던질 뿐이다.
2016-11-2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