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세훈 기자의 정치샤워] 금전 빚과 자리 빚

[장세훈 기자의 정치샤워] 금전 빚과 자리 빚

장세훈 기자
입력 2017-02-07 18:04
업데이트 2017-02-07 2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3년 1월 어느 날 빚어진 비공개 일화다. 새누리당 국회의원의 보좌진 신분으로 박근혜 대선 캠프를 거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던 이른바 ‘개국공신’ 몇몇이 돌연 자취를 감췄다. 속사정은 이랬다. 한 의원이 정부에 입성할 것으로 예상한 자신의 보좌진에게 조기 해고를 통보했고, 이 사실을 접하고 불이익을 우려한 당시 박 대통령 당선인이 관련 보좌진 전원에게 원대 복귀를 지시하면서 벌어진 일이었다. 결국 이들 보좌진 그룹 중 일부는 정권 출범 이후 ‘청와대 문건 유출’ 파동 등을 거치면서 ‘십상시’로 주목받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장세훈 정치부 기자
장세훈 정치부 기자
여기서 생기는 궁금증은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이 ‘청와대 얼라들’이라고도 칭했던) 보좌진 그룹이 왜 중용됐을까’ 하는 점이다. 이는 대선 과정에서 이들의 표면적 신분과 실질적 역할의 차이를 이해해야 풀린다.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은 대선에 앞서 주요 선거 참모들을 보좌진으로 선(先) 채용했고, 대선 국면에서는 이들 보좌진을 캠프에 후(後) 차출해 준 것이다. 보좌진 그룹이 캠프를 굴리는 주력 부대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대선 주자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을 줄이고, 선거 참모들은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관계다. 5년이 지난 지금 이러한 박근혜식 캠프는 대세가 됐다. 조기 대선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캠프를 앞다퉈 띄우고 있는 여야 대선 주자들 역시 정도나 규모의 차이가 있을지는 몰라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캠프를 ‘설계’하고 있다. 물론 정도(正道)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대선이 ‘전(錢)쟁’인 탓이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쓴 비용은 국가가 보전해 주지만 그 이전에 쓴 비용은 각자 부담해야 한다. 정치 후원금과 정당 지원금 등 수입이 뻔한 상황에서 사무실 임대료와 선거 활동비 등 불가피한 지출을 빼면 직원 인건비가 ‘긴축 1순위’ 대상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여전히 대다수 참모들은 ‘선(先) 기여, 후(後) 보상’을 염두에 두고 캠프로 향한다. 캠프가 정치적 도약을 위한 ‘정치 벤처’인 것이다. 자원봉사자들의 집합체 형태인 미국 대선 캠프, 정치적 가신그룹의 높은 충성도를 자양분으로 삼았던 과거 3김(김대중·김영삼·김종필) 시대 캠프 등과도 사뭇 다르다.

대선 과정에서 생긴 ‘금전 빚’은 곧 ‘자리 빚’이 된다. 지금 대선 주자들이 금전 또는 자리 빚을 청산할 수 있는 길을 걷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오히려 빚잔치를 또다시 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정권 창출 후 주요 참모들을 발탁하면 ‘보은 인사’ 또는 ‘낙하산 인사’라며 국민 여론의 지탄을 피할 길이 없다. 또 정치 참모들이 정권 내부에 자리하면 실세로, 외부에 머물면 비선으로 주목받는다.

측근이나 참모에게 의존적인 정권 운영은 결국 정부의 공식 의사 결정 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정권 창출 세력과 정부 공식 체계 간 신뢰 관계의 제도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빚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이번 대선은 정치권과 국민들에게 또다시 숙제를 던지고 있다.

shjang@seoul.co.kr
2017-02-0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