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압해도/서효인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압해도/서효인

입력 2017-03-31 17:48
업데이트 2017-03-31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만혁 ‘갈매기와 소년’(72×60㎝, 한지에 목탄 채색.)
임만혁 ‘갈매기와 소년’(72×60㎝, 한지에 목탄 채색.) 강릉대 미술학과, 중앙대 대학원 졸업. 성곡미술관 내일의 작가(2002), 박준용 청년예술문화상(2011).
압해도/서효인

아침에 이모부가 누운 채 돌아가셨다는 소식 있었다. 섬에는 다리가 놓였고 바다를 누르던 앞발도 서럽게 단단하던 갯벌도 천천히 몸을 돌리던 철선도 사라진다. 영구차가 다리를 건넌다. 섬사람이 없는 섬에서 연기가 올라온다. 바다가 다리 밑에서 조용한 원을 그리고 있었다. 이모부는 배 농장을 하던 땅과 놀던 땅 모두를 농협 조합장 선거에 갈아 넣었다. 이모부는 즙처럼 누워 쓸쓸히 편했고 압해는 바다를 꽉 누르고 있다는 뜻이다. 이모는 꽉 눌린 생물이 되어 압, 압, 울음을 찾는다. 웃는 것일지도. 그녀의 표정이 바다를 압도하고 있다.

“압해는 바다를 꽉 누르고 있다는 뜻이다”라는 구절 때문에 저녁을 전부 뿌연 하늘을 바다 삼아 바라보는 데 써 버린 날이 있다. 저 새삼스런 문장이 무심하게 시 속에 들어왔을 때, 섬 속을 맴돌던 길과 그 위를 빙빙 돌던 삶이 마치 바닷물이 그리는 조용한 원처럼 머물다가 어느 날 놓인 다리를 따라 연기처럼 죽음처럼 흘러나가는 풍경이 보이는 것이다. 사람을, 삶을, 슬픔과 쓸쓸함을 저 섬으로부터 꽉 눌러 짜냈던 것은 무엇일까? 시간일 수도 있고 운명일 수도 있으며 시쳇말로 문명과 자본과 발전의 이기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꽉 누르기 위해 섬 양쪽에 자신의 엄지를 올려놓고서는 가까이 견주는 자의 젖은 눈빛이 봄 햇살 속에는 있는 것만 같았다. 이 고통스런 세계를 관장하는 자가 알 수 없는 언어로 미안하다고, 미안하다고 말하는 그 회한조차 아예 없다면 도대체 우리는 생의 어디쯤에서 분노를 쉴 수 있겠는가.

신용목 시인
2017-04-0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