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인민의 이름으로’, ‘유권자의 이름으로’/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인민의 이름으로’, ‘유권자의 이름으로’/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4-30 17:40
업데이트 2017-04-30 1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창구 사회부장
이창구 사회부장
지난 25일부터 30일까지 하루 평균 1400여명의 교민이 베이징에 있는 주중 한국대사관을 찾았다. 대사관이 생긴 이래 이렇게 많은 교민이 찾은 것은 처음이다. 인근 허베이와 톈진은 물론 네이멍구와 신장자치구에 사는 교민들도 재외국민 투표에 참여했다.

중국 교민들에게 이번 대선은 어느 때보다 뜻깊다. 교민들은 겨우내 고국의 밤하늘을 수놓았던 촛불의 물결을 멀리서 지켜봐야만 했다. 어떤 이들은 “역사에 빚을 지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을 온몸으로 느끼며 불안한 나날을 보냈다. 대사관 투표소에서 만난 한 유학생은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절박감을 담아 꾹 눌러 찍었다”고 말했다.

중국 젊은이들도 요즘 ‘정치’에 열광하고 있다. 지난 28일 종영한 드라마 ‘인민의 이름으로’가 중국 청년들의 가슴에 정치적 열망을 불어넣었다. 후난위성TV에서 56부작으로 만든 이 드라마는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에서 무려 20억회나 재생됐다. 드라마 내용을 모르면 대화가 안 될 정도다.

‘인민의 이름으로’는 최고인민검찰원 검사가 온갖 외압과 위험을 무릅쓰고 권력 실세의 부정부패를 파헤쳐 심판대에 올리는 내용이다. 부패 관리의 집을 급습한 검찰이 벽과 침대, 냉장고에서 꺼낸 돈다발을 세던 중 계수기가 과열로 고장 나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는 2014년에 실제로 일어났던 일이다. “당은 인민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지, 인민폐를 위해 봉사하는 게 아니야”라는 ‘사이다 발언’도 등장했다.

이 드라마가 특히 매력적인 건 권력자들의 암투와 파벌, 정경유착, 권력기관 간 역학관계 등 현실 정치의 세계를 실감 나게 보여줬기 때문이다. 영국 BBC는 “중국 젊은이들이 드라마를 통해 정치를 ‘간접 체험’했다”고 평가했다.

사실 요즘 중국에서도 투표가 이뤄지고 있긴 하다. 올가을 19차 공산당 대회(전당대회)에 참석할 당 대표(대의원)를 뽑는 선거다. 전국에서 뽑힌 당 대표 3000여명이 가을에 베이징 인민대회당에 모여 향후 5년을 이끌 국가 지도부를 뽑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선거다. 그러나 일반인은 물론 당원도 별로 관심이 없다.

얼마 전 중국 대학원생과 정치체제를 놓고 토론을 벌인 적이 있다. “드라마보다 당 대표 선거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으니 “지도자 선출은 우리 몫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만일 폭군과 같은 주석이 나타나면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묻자 “그런 지도자가 나올 수 없는 게 바로 중국의 정치체제”라고 주장했다. 밑바닥부터 혹독한 검증을 받기 때문에 함량 미달 인사는 지도자 반열에 오를 수 없다는 논리였다.

국민이 대표를 직접 선출하는 권한을 갖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투표가 일상생활에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오는지 정성껏 설명했지만, 열혈 공산당원인 이 학생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는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어차피 결론 날 토론이 아니었기에 필자는 “드라마 속에 갇힌 정치를 중국 젊은이들이 현실로 꺼내 오길 바란다”며 말을 맺으려 했다. 그러자 이 친구가 “한국은 국정농단 사태와 같은 혼란을 보려고 그토록 열심히 대표를 뽑아 왔느냐”고 맞받아쳤다.

드라마 속에만 존재하는 ‘인민의 이름’에 만족하는 이 청년에게 민주주의의 위대함을 증명하는 길은 ‘유권자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길밖에 없어 보였다.

window2@seoul.co.kr

2017-05-01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