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집다’와 ‘짚다’ 구별하기/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집다’와 ‘짚다’ 구별하기/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5-31 23:30
업데이트 2017-06-01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분’(區分)과 ‘구별’(區別)은 비슷한 데가 있다. 둘 다 ‘나누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렇지만 구별된다. 구별된다는 건 차이가 있다는 뜻이 된다. ‘구별’에는 ‘나누다’에 이 ‘차이’라는 의미가 더해진다. 차이를 알려면 쪼개 보고 헤아려도 봐야 한다. 그래야 대상을 알 수 있고 나눌 수 있다. 공과 사를 구별하는 일도 뭔가를 알아야 된다. ‘구분’에는 단지 대상을 나눈다는 의미만 있다. 구분과 구별은 이렇게 갈라진다.

‘집다’와 ‘짚다’는 ‘구별’된다. 세밀하게 확대하면 차이가 꽤 보인다. ‘집다’에는 ‘손’이, ‘짚다’에는 ‘더듬이’가 있다고 하면 좋을 듯하다. 그러니 ‘구슬을 집다’가 된다. 젓가락으로 반찬을 ‘집을’ 때도 손을 사용한다. ‘가리키다’라는 추상적 의미로 ‘집다’를 쓰는 것도 손으로 가리키는 데서 비롯한다. ‘그를 범인으로 집었다.’ 이렇게 ‘집다’는 손과 관련이 깊다.

개미는 더듬이가 두 개 있다. 이 더듬이를 먹이에 대 보고 더듬는다. 그러면서 먹을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더듬이는 냄새를 맡는 능력도 뛰어나서 이동하는 방향을 잡는 데도 쓰인다. ‘짚다’에는 이 더듬이가 있는 듯하다. 그래서 땅을 ‘짚고’, 벽을 ‘짚는다’고 한다. 목발을 짚을 때도 마찬가지다. 모두 바닥에 대는 일이다.

대거나 더듬는 데는 손보다 더듬이가 더 섬세하다. 그러니 이마를 ‘짚는다’. 상황을 헤아리거나 짐작하는 일도 ‘짚다’가 된다. ‘속내를 짚어 보다’라고 한다. 시비를 가리는 일은 ‘짚고 넘어가다’이다.
2017-06-01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