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 “AI에 인간이 경쟁력 갖기 위해서는 ‘집단지능’ 활용해야”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 “AI에 인간이 경쟁력 갖기 위해서는 ‘집단지능’ 활용해야”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7-10-10 23:12
업데이트 2017-10-11 0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법

다른 아이디어 가진 사람들 모여 토론할 때 최고의 창의력 발휘
조벽 숙명여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조벽 숙명여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해서는 이미 정해진 답을 암기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답을 스스로 찾게 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조벽 숙명여대 석좌교수는 10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AI)이 출현·발달하면서 현재의 노동시장은 급변할 것”이라며 “AI에 대해 인간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집단지능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로 다른 아이디어와 비전을 가진 사람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토론할 때 형성되는 집단지능을 통해 최고의 창의력이 발휘된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나와 매우 다른 비전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과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사회 정서적 역량, 즉 인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며 “하지만 한국 교육은 암기, 분석과 관련된 인지적 영역만 강조할 뿐 감정, 정서와 관련된 정의적 영역은 배제하면서 반쪽자리 교육이 됐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학생에게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함께 길러 주기 위해 학교에서 교사는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교육 경험도 디자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는 단순히 지식 도매상이 아닌 멘토가 돼야 한다”면서 “학습 내용을 통해 학생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비전을 형성하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KCERN) 이사장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는 정답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해결책 또한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며 “현재의 정답 위주 교육이 아닌 창조적 협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이사장은 “창조적 협력 교육이란 문제를 찾고 팀으로 이를 해결하며 답을 상호 평가하는 것”이라면서 “대학 역시 학내에서 폐쇄적으로 교육·연구하는 것이 아닌 사회로부터 문제를 찾고 외부의 다양한 사람과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재산 피플스그룹 대표는 창의적이고 협력하는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재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는 인사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가 대표는 “현재 한국 대부분의 기업은 일률적인 사람을 공개채용해 이들에게 하나의 전문 기술을 교육시킨 뒤 이들의 결과물(아웃풋)만 가지고 평가하는 인사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며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잘 훈련된 해군보다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해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뽑아 협업시키고 결과물(아웃풋)만이 아닌 이들이 어떤 아이디어를 냈는지(인풋), 어떻게 협업했는지(프로세스) 등을 다층 평가해야 ‘해적’을 길러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10-11 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