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메신저 단톡방, 나가고 싶으나 나가지 못한 사람이 10명 중 7명

메신저 단톡방, 나가고 싶으나 나가지 못한 사람이 10명 중 7명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7-10-31 15:36
업데이트 2017-10-31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계유지 등의 이유로

단톡방에서 나가고싶었으나 나가지 못한 이유
단톡방에서 나가고싶었으나 나가지 못한 이유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메신저 단톡방 사용자 10명 중 7명이 단톡방에서 나가고 싶어했으나 실제로는 관계유지 등의 이유로 못나간 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31일 미디어 이슈리포트를 통해서 밝힌 ‘메신저 단톡방 인식 및 행동조사’ 결과다. 조사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20~50대 성인남녀 10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이뤄졌다.

이에 따르면 메신저 단톡방 공간을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톡방 사용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전체 응답자 1061명에게 단톡방을 사적인 공간으로 보는지, 공적인 공간으로 보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70.4%가 단톡방을 사적 공간으로(완전한 사적 공간 15.8%, 대체로 사적이나 일부 공적 측면도 있음 54.6%)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단톡방 대화상대 유형에 따라 이용자가 느끼는 사적·공적 공간 인식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했는데, 대화상대별로 인식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가족이나 친구와의 단톡방은 절대다수의 응답자가 사적 공간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각각 88.1%, 85.6%), 가족/친구/직업관련인을 제외한 지인과의 단톡방은 그보다 훨씬 적은 59.4%만이 사적 공간이라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특히 직장동료나 업무관련자와 같은 직업관련인과의 단톡방에 대해서는 대다수인 79%가 공적 공간이라고 답했다(완전한 공적 공간 39.3%, 대체로 공적이나 일부 사적 측면 있음 39.7%).

이러한 결과는 메신저 이용자들이 대화상대와의 관계 자체를 단톡방의 사적·공적 공간 인식에 투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즉, 대화상대가 사적인 관계이면 그들과의 단톡방도 사적 공간으로, 공적 관계에 가까운 사람들이면 공적 공간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1061명 가운데 메신저에서 단톡방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1019명 응답자들을 상대로 단톡방에서 나가고 싶었으나 나가지 못한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70.8%(721명)로 나타났다.

이 721명의 응답자들에게 단톡방을 나가지 못한 가장 중요한 이유 하나를 물은 결과, 절반에 가까운 48.7%가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심기를 불편하게 할까봐를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단톡방 참여자들과 멀어지거나 그들로부터 소외될까봐(20%), 단톡방에 올라올 새로운 정보를 몰라 뒤처지게 될까봐(16.6%), 단톡방을 나간 뒤 자신에 대한 나쁜 얘기가 오갈까봐(14.7%) 순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를 한 양정애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이번 연구에서 단톡방 이용자 10명 중 7명이 단톡방에서 나가고 싶었으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때문에 실제로는 못나간 적이 있었다는 반응을 보인 것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지나친 연결로 인한 피로감을 느끼면서도 관계유지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박현갑 기자 eagledu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