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선 중기까지 설날에는 떡국 아닌 메밀만두 먹었다

조선 중기까지 설날에는 떡국 아닌 메밀만두 먹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1-05 12:13
업데이트 2017-11-05 1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팀 17세기 초 문헌 분석 결과

매년 새해 첫날인 설날에는 떡국을 먹으며 한 살 더 먹었음을 되새기고 가족의 건강과 평안을 기원했다.
17세기 중반까지만해도 설날에는 떡국이 아닌 메밀만두를 먹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포토리아
17세기 중반까지만해도 설날에는 떡국이 아닌 메밀만두를 먹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포토리아
그런데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17세기 중반까지는 설날에 떡국이 아닌 메밀만두를 먹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영하 교수는 조선 중기 문신 조극선(1595~1658)이 1609~1623년 14년 동안 고향인 충청도 덕산현에 머물며 기록한 ‘인재일록’이라는 일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5일 밝혔다.

주 교수는 “조극선은 새해 첫날 차례를 지내고 집안 사람들끼리 세배를 한 뒤 성묘를 했는데 그의 기록에서 설날에 먹은 음식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만두”라고 말했다. 1619년과 1623년에는 병탕(떡국)을 먹은 것으로 기록이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식(1584~1647)과 허균(1569~1618) 등 조선 중기 문인들이 남긴 글도 분석한 결과 “17세기 초반까지는 만두와 떡국을 차례에 올리고 설 음식인 세찬으로도 먹었지만 이후 서울의 권문세가를 중심으로 떡국이 세찬으로 남게 됐다”고 주장했다.

주 교수는 “한반도의 밀은 겨울에 파종해 6월에 수확했는데 한 여름에 확보한 밀을 이듬해 1월까지 보관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만두피의 주재료가 밀가루인데 설에 밀가루로 만든 만두를 먹기는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만두피를 만들 때 밀 대신 메밀을 사용해 메밀만두를 만들어 먹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유교를 강조한 조선에서는 흰색을 선호했는데 메밀가루는 껍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회색빛이 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가래떡을 이용한 떡국이 설날 음식으로 살아남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19세기 문헌에는 설날 세찬으로 떡국만 등장하고 만두는 나오지 않고 있다.

주 교수는 이덕무(1741~1793)가 펴낸 ‘세시잡영’에서 떡국 안에 들어가는 가래떡을 ‘백탕병’이라고 적은 사실을 예로 들면서 “조선 선비들의 백색 선호로 미루어볼 때 설날 음식도 흰색이었어야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