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가 8인의 삶 ‘인간과 인간다움’을 고민하다

작가 8인의 삶 ‘인간과 인간다움’을 고민하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8-01-05 18:16
업데이트 2018-01-05 1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천주희 외 7명 지음/낮은산/196쪽/1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인간보다는 이익이, 삶보다는 효율이, 과정보다는 결과가 중시되는 사회다. 인간은 국가와 기업, 그리고 그에 복무하는 인간들이 형성하는 거대한 프로세스 안에 살면서, 외려 인간으로서의 자리를 잃는 역설을 경험한다. 이 시스템에 동화되지 않는 이는 곧바로 제거당한다. 그러니 누구나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쳇바퀴 돌 듯 산다. 그러다 종종 순환 프로세스 중간에 멈춰 서서 돌아볼 때도 있다. 인간은 자신이 누구인지 묻는 거의 유일한 동물이니까. 이 물음, 그러니까 인간이 가져야 할 최소한의 윤리는 무엇일까에 대한 사유의 결과물이 새 책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다. 8명의 저자가 각자의 삶을 바탕으로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담고 있다.

천주희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를 통해 우리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식 구조를 살핀다. “다수라는 집단의 편의”를 위해 소수와 약자를 분리하는 것이 온당한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정지우는 우리 사회의 노동 ‘재난’을 열거하고 있다. 거의 전부가 갑과 을에서 비롯된 ‘인재’들이다. 그는 우리가 인간을 인간으로 사고하지 않은 결과 ‘인간의 자리’를 어떻게 상실했는지 짚고 있다.

김민섭은 자신의 아이 이름을 이웃이란 뜻의 한자 ‘린’이라 지은 이야기를 바탕 삼아 ‘사회적 인간’의 의미를 환기한다. 류은숙은 식당 ‘알바’로 일하는 동안 ‘MB’(이명박 전 대통령)의 밥상을 세 번이나 차렸던 경험담을 토대로 ‘존재’가 아닌 ‘열심’만 섬기는 나라를 통박하고 있다. 전성원은 태초의 ‘인류’가 ‘인간’으로 진화해 가는 과정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들여다본다. 하승우는 “곁에 서는 것으로서의 정치”를, 강남순은 ‘탈영토적 고향’이란 개념을 통해 인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홍세화는 “회의하는 인간”을 주문하고 있다. 그에게 ‘회의하다’는 ‘생각하다’와 동의어다. 지배논리에 훈육되지 말고 끊임없이 회의하며 사는 길이 인간의 길이란 거다. 그런데 한국 사회는 쉬 설득되지 않는 사회다. 남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선전과 선동은 쉽게 먹힌다. 이런 상황은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간관계의 돈독함과 풍요로움을 향유하지 못하고 외톨이로 남는 한국 사회 구성원들이 소유에 집착하면서 물신주의에 빠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다. 이 결론은 어디로 이어질까. 다시 처음으로 간다. 이익과 효율, 결과가 중시되는 사회로.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8-01-06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