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욱의 파피루스] 남녀 관계는 평생의 학습을 요구한다

[서동욱의 파피루스] 남녀 관계는 평생의 학습을 요구한다

입력 2018-03-16 17:54
업데이트 2018-03-16 18: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모든 인간관계는 어렵고, 세심함을 요구한다. 남녀 관계 역시 당연히 그렇다.

친구가 되었건 애인이 되었건 배우자가 되었건, 또는 그 외의 어떤 관계 속에서 마주치게 되었건 도대체 타인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저 질문에 답안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분명 평생 추구해야 하는 중대한 학습이 필요한데도 사람들은 공부할 겨를 없이 게으르다.

남녀 관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신화 중 하나가 플라톤의 대화편 ‘심포지엄’에 나온다. 이 신화는 왜 남녀 관계가 위험에 빠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다. 신화는 애초에 남녀는 한 몸이었다고 말한다. 암수 한 몸으로 얼굴은 두 개, 팔 다리는 각 네 개씩이었다. 이 인간들이 자신들을 대단한 존재로 생각해서 마침내 신들을 공격하려 하기에 이르자, 제우스는 이들을 둘로 갈라 버린다. 인간은 얼굴 하나에 팔 둘, 다리 둘만 가진 초라한 반쪽이 됐고, 이후 잘라진 반쪽은 다른 반쪽을 그리워하여 계속 만나려 들었다.

이 이야기는 잃어버린 ‘전체’를 회복하려는 욕망의 표현으로서 남녀 관계를 이해하는 사고방식을 대표한다. 이 신화는 ‘개별적인 인간’을 ‘전체의 일부’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폭력은 언제 탄생하는가. 바로 전체라는 저 허구 속에 개별자인 인간을 억지로 집어넣으려 할 때 도래한다.

전체의 이익을 위해 조금만 참아라. 우리 모두를 위해 좋은 것인데, 너는 너만 생각하느냐. 너는 우리 전부가 추구하는 가치를 조금도 이해하지 못했구나…. 이런 식의 이야기들을 수없이 들어 왔다. 남녀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고 괴롭히고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자기 머릿속에 있는 지극히 사적인 생각, 자기만의 신념 등이 자신과 상대방, 즉 남녀 전체를 위한 절대적 가치라고 착각하는 자이다. 자신은 전체를 대표하고 이끄는 주연이며, 상대방은 이 전체에 기여해야 하는 조연이다. 그래서 상대방은 자기를 이해해 주어야 하는 입장이고, 자신의 쾌락을 위해 기여해 주어야 하는 입장이다. 그래서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지극히 괴로운 일도, 결국 전체 모두에게(그러나 사실 그 자신에게만) 좋은 즐거움, 적어도 용인돼도 괜찮은 쾌락이라고 착각한다.

당연히 우리는 전체의 일부가 아닌 개별적인 인간들이다. 전적으로 서로 다른 자들이, 각자의 고유함 때문에 합쳐질 수 없이 계속해서 서로 다른 자들로 남아 있는 것이 남녀 관계다. 밀란 쿤데라는 소설 ‘불멸’에서 임종의 순간에 이르기까지 전적으로 서로 다른 이로 남아 있는 남녀 관계를 이렇게 그려 내고 있다. 남자 주인공 폴은 아내의 주검 앞에서 생각한다.

“일생의 부부 생활을 통해서 한 번도 그녀가 진정으로 그의 것이었던 적이 없는 것 같았다. 한 번도 그녀를 가진 적이 없는 것 같았다. 그는 눈꺼풀이 감긴 그 얼굴을 바라보았다. 그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그 이상한 미소는 폴에게 보내는 것이 아니었다. 그 미소는 폴이 모르는 어떤 이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이 두 남녀의 관계는 실패한 것인가. 아니, 오히려 저 구절은 남녀 관계의 본질이 무엇인지 알려 주고 있다. 남녀 관계에서 인간은 결코 상대방 소유물이 되지 않는다. 줄곧 상대방을 위해 미소 짓지도 않는다. 각자는 상대방이 아닌 자신의 인생을 바라보며 미소 지을 것이다. 인간은 서로에게 영원히 들어맞지 않는 퍼즐 조각들이며, 전체 그림 같은 것은 결코 맞추어지지 않는다. 인간에게 남아 있는 길은 무엇뿐인가. 오로지 상대방의 고유성, 서로 다름, 하나의 전체로 합일하려 하지 않는 상대방의 본성적 고집을 존중하는 길밖에 없다.

철학자 들뢰즈는 자신의 모범으로 삼는 스피노자에 대해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스피노자는 사람들이 그냥 살아가도록 내버려 두었다.” 타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어리석은 인간은 자기 앞의 한 사람을 순응시키려 하고, 자신의 식민지로 삼으려 한다. 그러나 ‘모두와 다른 고유함’이라는 타인의 본성이 이를 허용하지 않는 까닭에 그의 시도는 결국 좌초하고 만다. 타인은 그가 있는바 그대로 내버려 둘 수밖에 없다. 각자의 본성에 따라 살도록 놔두기. 이것이 자유인의 공동체가 제일로 삼는 교육이다.
2018-03-17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