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여자 하키 따로 정식종목 됐으면” 24년 만에 실전 경험한 슈뢰더

“여자 하키 따로 정식종목 됐으면” 24년 만에 실전 경험한 슈뢰더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3-18 10:22
업데이트 2018-03-18 1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표는 모든 나라가 국가대표팀을 갖고, 바라건대 여자 아이스하키가 따로 정식종목이 되는 것입니다.”

24년 만에 여자 선수로 동계패럴림픽 장애인 아이스하키 실전을 경험한 노르웨이 대표팀의 레나 슈뢰더(26)는 1994년 릴레함메르 대회에 노르웨이 대표로 브릿 먀아순드 외젠이란 여성이 활약한 지 4반세기가 흘렀는데도 평창 대회에 출전한 135명의 아이스하키 선수 가운데 자신이 유일한 여성으로 주목받는 것이 못내 안타까운 듯했다.

슈뢰더는 지난 13일 스웨덴과의 조별리그 A조 마지막 경기에 5분여를 뛰며 활약했다. 앞서 이탈리아에 2-3, 캐나다에 0-10으로 졌을 때와 14일 5~8위 결정전에서 일본을 6-1로 제쳤을 때와 16일 체코와의 5, 6위 결정전을 5-2로 이겼을 때도 그는 링크에 나오지 못했다. 오직 한 경기만 뛰었다. 이번 대회에는 4년 전 소치 때보다 여자 선수가 44%나 늘었는데도 아이스하키의 여자 선수 참여는 늘지 않고 여전히 혼성 종목으로 남아있다고 영국 BBC는 18일 지적했다.

미국과 캐나다만 여자 대표팀을 갖고 있다. 유럽 역시 여자선수들만 있는 팀을 꾸릴 만한 선수들이 없다. 그래서 동계패럴림픽에서 여전히 혼성팀들이 경기를 벌인다.
그녀가 처음 아이스하키의 매력에 눈을 뜬 것은 15세 무렵이었다. 날 때부터 척추 파열을 겪은 그녀는 막 팀이 창단한다는 친구의 문자를 받고 곧바로 입단 계약을 결심했다. “어찌됐든 하키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었다. 서있지도 앉아 보지도 못했지만 난 한 번 해보겠다고 결심했다. 곧 사랑에 빠졌다”고 털어놓았다.

오슬로 팀에서 활약하다 2014년 노르웨이 대표팀에 콜업됐다. 그때나 지금이나 대표팀에 유일한 여자선수지만 그녀는 거기에 안주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그녀는 “너무 익숙해졌지만 정말로 많이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 남자애들과 함께 플레이하는 게 즐겁고 내게 너무 자연스럽다. 좋은 녀석들이 많아 거기서 그들과 어울려 지낸다”고 말했다.

2016년 11월 슬레지하키에서 조금 더 공격적인 경기 양식이 드러나도록 장애인 아이스하키로 명칭이 바뀌었다. “코치들은 가끔 상대 선수들이 ‘내가 여자라고 봐주지 않는지’ 물어본다고 말하더라“며 코치는 ‘그래 니들 하기 나름이지, 근데 한대 맞을걸’이라고 답해준다”고 털어놓았다 슈뢰더는 처음 시작할 때부터 코치들이 부드럽게 대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잘 알고 있었다. 종목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고 스피드를 높이고 남자 선수들과 마음껏 경쟁하기 위해 근력을 키우는 등의 노력을 했다.
슈뢰더는 “코치들은 내가 상태가 좋지 않으면 경기에 데려가지 않겠다고 했다. 해서 난 스스로를 입증해야 했다”라고 말했다. 링크 밖에서는 대표팀 동료들과 스스럼 없이 어울린다. 심지어 라커룸까지 함께 쓴다. “보통 남자애들과 농담도 많이 주고받는다. 여자라고 특별한 것은 없다. 내가 요청하면 사생활을 누릴 시간을 준다. 하지만 그것만 빼면 특별히 다른 것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때때로 선수들이 여자에 대한 농담을 늘어놓을 때나 누군가를 놀려먹을 때 내게 ‘괜찮겠어?’라고 물어본다“고 털어놓았다.

성별 때문에 가장 신경을 곤두세우는 건 샤워 순서다. “전 혼자 해요. 엄청나게 장비가 많아 내가 가장 먼저 하거나 가장 나중에 한답니다. 가급적 그냥 섞여서 하려고 하죠. 내가 그들을 기다리는 것도 싫고, 그들이 날 기다라는 것도 싫어서요”라고 말했다.

슈뢰더는 풀타임 선수가 아니다. 오슬로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는 짬짬이 훈련하며 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야 한다. 당장은 하키에만 집중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장애인 스포츠에는 돈이 많이 들어 영원히 선수로 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장차 직장을 구해야 하는데 의학이 더 좋다고 말했다. 그녀는 “아직 젊어서 공부를 잠시 미루고 하키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린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문제 없다”고 단언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