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쓰레기는 내 삶의 일부이자 ‘나’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쓰레기는 내 삶의 일부이자 ‘나’

입력 2018-04-06 18:28
업데이트 2018-04-07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프 패럴 ‘도시의 쓰레기 탐색자’

쓰레기 대란, 정확히 말하면 재활용품 대란이 일어날 태세다. 폐비닐로 시작된 재활용품 수거업체들의 수거 거부는 플라스틱과 폐지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중국의 폐자원 수입 중단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따지고 들면 정부의 정책 실패도 한몫한다. 과거 정부는 폐비닐을 신재생에너지로 띄웠지만, 이제는 폐비닐로 만든 고형원료가 미세먼지 발생의 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뒤늦게 중재안이 나왔지만 여전히 폐비닐 수거를 거부하는 곳도 있고,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할 경우 과태료를 낼 수도 있어 숱한 가정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재활용품을 포함한 쓰레기는 작게 보면 한 사람, 크게 보면 한 사회의 삶의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무엇을 먹는가가 그 사람을 말해 주듯, 무엇을 사용하고 버리는가도 그 사람과 사회를 말해 준다. 미국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인류학을 가르치는 제프 페럴의 ‘도시의 쓰레기 탐색자’는 도시에 넘쳐나는 쓰레기가 사회적, 인문학적, 문화범죄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분석한 책이다. 그는 애리조나 대학교 종신교수 자리를 그만두고 무작정 고향인 텍사스 포트워스로 돌아가 무려 8개월 동안 쓰레기 탐사를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호화저택 주변과 노동자 밀집지역을 어슬렁거렸고, 중산층 지역과 시내 번화가를 가리지 않았다. 그곳에서 각종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수거해 자신의 자전거 리어카에 실었는데 말 그대로 쓰레기가 대부분이었지만, 뜯지도 않은 선물과 보석 조각 등도 종종 쏟아져 나왔다. 온종일 길거리를 배회하다 보니 만나는 사람도 다양했다. 쓰레기더미를 뒤지고 다니니 당연히 노숙인이나 거지를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불법 쓰레기 수집인에서부터 노숙자, 금속 수집가, 재활용 운동가, 대안건축물 건축가, 아웃사이더 아티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거리의 쓰레기에 눈길을 주고 있었다. 이들에 대한 의미 부여도 눈여겨볼 대목인데, 그들은 “대단위의 사회 생태계 속에서 공식적인 폐기업자나 공중위생 관련 기관보다 한발 앞서 나날이 쌓여 가는 쓰레기더미를 분류하고, 도무지 가치 있는 것이라곤 없어 보이는 가운데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사람들”이다.
이미지 확대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우리 사회는 쓰레기 수집하는 일을 “지저분하고 불쾌한 일”로 여긴다. 하지만 페럴 교수는 자신과 같은 쓰레기 수집가들의 활동이 “버리는 이들에 대한 경고”이자 “오늘의 소비문화 그 이면을 밝히는 도구”라고 강조한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가 곧 우리라는 이야기는 과장이 아니라 진솔한 사실인 셈이다.

페럴 교수가 쓰레기를 통해 보게 된 것은 두 가지, 불평등한 세상과 소비가 아닌 낭비로 점철된 세계다. 사실 두 가지는 하나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끝없이 확산되는 소비문화는 계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잘살건 못살건 “문화적 물질주의에 기반한 글로벌 경제의 대량생산과 그 결과로 나타난 낭비”를 해야만 살 수 있는 게 오늘날 지구의 풍경이다. 물론 낭비는 부유층에서 두드러진다. 뜯지도 않고 선물을 버리는가 하면 1년도 아니고 한두 달 쓰고 버리는 물건들마저 수두룩하다. 이는 곧 빈부 격차가 미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하나의 지표라고 페럴 교수는 강조한다.

일주일에 한 번, 재활용품을 내놓을 때마다 나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솔직히 고백하건대, 쓰레기가 많아 귀찮다고 생각했을 뿐 그것이 내 삶의 일부이자 곧 나라는 생각은 못했다. 애꿎은 중국과 정부 정책을 탓하기 전에, 그것을 사용한 나는 누구인가를 다시금 생각할 때가 아닐까 싶다.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2018-04-07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