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흔 살 잔치’ 한국 오페라, 또 다른 실험 무대

‘일흔 살 잔치’ 한국 오페라, 또 다른 실험 무대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4-25 17:18
업데이트 2018-04-25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부터 한달간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

모차르트의 걸작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 등장하는 인물인 알마비바 백작과 백작의 하인 피가로, 백작부인의 하녀 수잔나가 한국 건축회사의 박만규 사장과 피정훈 과장, 김혜리 비서로 변신한다.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의 불멸의 사랑은 서울 한복판에서 되살아난다.
이미지 확대
광화문역을 배경으로 한 서울오페라앙상블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예술의전당 제공
광화문역을 배경으로 한 서울오페라앙상블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예술의전당 제공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한국 오페라의 다양한 실험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무대가 마련된다. 1590년대 유럽에서 최초로 오페라가 시작된 것에 비하면 턱없이 짧지만 비약적으로 성장한 한국 오페라의 역사는 충분히 자축할 만하다.

27일부터 새달 27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오페라페스티벌’은 9회째를 맞아 오페라 70년을 더욱 다채로운 레퍼토리로 채웠다. 갈라부터 창작 작품까지 6편이 무대에 오르는 이번 페스티벌에서 눈에 띄는 작품은 서울오페라앙상블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5월 4~6일)다. 그리스 신화 중 오르페우스가 ‘지상에 이를 때까지 뒤돌아보지 말라’는 하데스의 금령을 어겨 아내 에우리디체를 영영 잃어버리고 만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작품인데, 배경을 모두가 잠든 새벽 서울 광화문 지하철역으로 옮겨 왔다. 지하철 사고로 아내를 잃고 광화문역을 찾은 거리의 악사 오르페오 앞에 노숙자 차림의 아모르가 나타나 죽은 아내를 살릴 수 있다고 제안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미지 확대
한국 전래 설화 ‘구미호’를 소재로 한 누오바오페라단의 ‘여우뎐’.  예술의전당 제공
한국 전래 설화 ‘구미호’를 소재로 한 누오바오페라단의 ‘여우뎐’.
예술의전당 제공
누오바오페라단의 ‘여우뎐’(5월 11~13일)은 한국 전래 설화인 ‘구미호’를 소재로 한 창작 오페라다. 2016년 초연 때는 여우와 인간의 100일간의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면 올해는 1000년 동안 인간이 되기를 기다려 온 여우들의 엇갈린 운명에 대한 원망과 한을 노래한다. 모차르트의 걸작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배경을 한국의 한 건축회사로 옮겨 온 울산싱어즈오페라단의 ‘썸타는 박사장 길들이기’(5월 18~20일), 판소리와 오페라를 결합한 코리아아르츠그룹의 ‘흥부와 놀부’(5월 25~27일)도 눈길을 끈다.

국립오페라단의 ‘오페라 갈라’(5월 19~20일)도 70년 역사를 축하한다. 한국에서 공연한 최초의 오페라 ‘춘희’부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오페라로 꼽히는 ‘리골레토’, 국립오페라단이 1974년 초연한 바그너의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우리말로 노래하는 임준희 작곡의 ‘천생연분’ 등 4편의 오페라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만을 엄선해 하나로 엮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오페라단의 ‘투란도트’ 연습 장면.  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시오페라단의 ‘투란도트’ 연습 장면.
세종문화회관 제공
서울시오페라단이 26~29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선보이는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도 기대되는 작품이다. ‘투란도트’는 원래 중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투란도트 공주와 칼라프 왕자의 사랑 이야기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중국풍 배경을 지웠다. 고대 자금성을 바탕으로 펼쳐지던 이야기는 한국의 당인리발전소(현 서울복합화력발전소)를 모티브로 재해석된다. 극 중 칼라프 왕자가 기계 문명의 재앙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채 빙하로 뒤덮인 생존자들의 땅에서 공주 투란도트와 만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았다. 하룻밤 안에 투란도트가 내는 수수께끼 3개를 풀지 못하면 처형당하지만 그녀에게 반해 도전을 멈추지 못한다는 본래 이야기의 얼개는 유지하되 문명의 종말을 앞둔 극한 상황에서 생존자들이 결국 사랑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다는 내용을 그린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4-26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