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말과 행동도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것을 규정하는 용어가 달라진다. 이를 테면 ‘폭동’과 ‘봉기’가 그렇다. 권력(자)의 입장에서는 자기에게 복종하지 않고 거리로 뛰쳐나온 사람들의 모습을 폭동이라 칭할 테고, 거리로 뛰쳐나온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권력(자)에 저항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봉기라 칭할 테다.
그러면 1967년 디트로이트에서 실제 있었던 흑인들의 집단행동은 뭐라고 불러야 할까. 사회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폭력 행위인 폭동인가? 아니면 부당한 지배(자)에 맞서 떼 지어 일어난 봉기인가? 영화 ‘디트로이트’는 관객으로 하여금 우선 이런 물음을 갖도록 한다.

이 답을 찾기는 사실 어렵지 않다. 흑인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원인이 미국에 만연한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 때문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이것은 봉기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 맞닥뜨린 공권력의 대처 방식에 있다. 봉기를 폭동으로 여긴 공권력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진압 작전에 돌입한다. 디트로이트 경찰 필립(윌 폴터)도 마찬가지였다. 야밤에 총소리가 난 알제 모텔로 출동한 그는 투숙객들을 용의자로 단정한다. 모텔에 묵고 있던 이들은 모두 흑인 남성이었다. 두 명의 백인 여성도 있었는데, 그네들은 흑인 남성과 어울렸다는 이유로 용의자로 낙인찍혔다.

이제 필립을 비롯한 경찰들은 그들을 상대로 심문을 시작한다. 더 정확히 말해 경찰들은 그들을 상대로 폭언과 폭행, 그리고 살인을 저지른다. 관객은 용의자들이 무고하고, 오히려 경찰들이 죄를 범했다는 진실을 안다. 한데 그 진실이 어떻게 거짓에 덮이고 마는가를 가만히 지켜봐야 한다. 괴로운 일이다.

그렇지만 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픔을 겪은 사람들이 있다. 살해당한 사람들을 포함해, 그날 알제 모텔에 있었던 사람들이다. 이들은 침묵을 강요당했다. 적반하장 격으로 경비원 멜빈(존 보예가)은 살인 용의자로 체포되기도 했다. 전도유망했던 가수 래리(알지 스미스)는 또 어땠나. 그 사건 이후, 그는 자신이 그토록 꿈꿨던 무대에 서기를 포기했다.

다들 지금까지 영위하던 삶이 무너졌다. 봉기의 소용돌이에서 한 발짝 떨어져 있던 그들의 인생은 이를 계기로 단번에 바뀌었다. 특히 백인(경찰)을 위해 더는 노래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래리가 그랬다.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봉기의 주체로 거듭난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철학자 악셀 호네트는 주장한다. 법적 권리의 박탈을 포괄하는 모든 형태의 억압은 인간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려는 욕구를 가로막는다고. 이와 같은 무시와 모욕의 경험이 분노를 갈무리한 봉기의 제일 큰 동기가 된다고 말이다. 캐스린 비글로 감독은 이 영화로 “세상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또는 얼마나 바뀌지 않았는지 하는 질문”을 던진다고 했다. ‘갑질’이 계속되는 한국에서 이 답을 찾기는 어렵지 않을 것 같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