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준식의 거듭나기] 아름다운 임종, 구본무 회장의 경우

[최준식의 거듭나기] 아름다운 임종, 구본무 회장의 경우

입력 2018-05-27 22:24
업데이트 2018-05-27 2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에 ‘존엄한 임종’과 관련해 LG그룹의 구본무 회장은 실로 좋은 귀감이 됐다. 그동안 나는 한국인들이 행해 온 임종과 장례에 관련해 많이 비판해 왔다. 비합리적이고 허례에 치우친 일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받거나 허례허식에 빠진 장례식 등이 대표적인 예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그래서 개선책을 단행본 등에서 자주 밝혔는데 나처럼 무명 인사가 외쳐 보아야 별 소용이 없었다. 그 때문에 나는 항상 사회의 저명 인사가 좋은 임종을 직접 실천해 보여 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구 회장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전범(典範)을 보여 주었다.

인간의 죽음은 죽는 그 순간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지속되는 지난(至難)한 과정이다. 구 회장은 보기 드물게 이 과정을 ‘모범생’으로 마쳤다. 나는 이제껏 극소수 사회의 지도층 인사를 제외하고는 이런 사례를 거의 보지 못했다.

어떤 면이 모범적이었다는 것일까. 그는 우선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했다. 우리는 말기 질환 상태로 들어가면 다시는 건강을 찾을 수 없는 비가역적인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어떤 치료도 소용없기 때문에 진통제를 제외한 모든 치료를 받지 않아야 한다. 구 회장은 평소에 연명치료를 반대한다는 의사를 충분히 밝혔기 때문에 치료 중단에 문제가 없었다.

그다음에 내가 주목해서 보았던 것은 부고장이었다. 나는 신문에 난 지도층(?)들의 부고를 유난히 관심 있게 본다. 왜냐하면 이들의 부고 가운데에는 격식에 맞는 것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구 회장의 부고는 예를 갖추었고 허례를 피해 보기에 좋았다.

구 회장의 부고를 보면 “화담 능성 구(具)공 본무께서 … 별세하셨기에”로 시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는 이 문구를 보고 안도의 숨을 쉬었다. 왜냐하면 고인의 이름을 격식에 맞게 썼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껏 고인의 이름을 이렇게 쓴 것을 거의 보지 못했다. 호(화담)를 맨 먼저, 그리고 본관(능성)을, 그다음에 성을 쓰고 ‘공’ 자를 넣고 이름만 쓰는 것, 이게 정식인 것이다.

독자들이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알아차렸는지 모르겠는데 만일 다른 사람이 이 부고를 썼다면 아마 ‘LG그룹 구본무 회장님께서 별세하셨기에’라고 썼을 것이다. 이것은 예에 맞지 않는다. ‘회장’이라는 공식적이지 않은 직함을 썼을 뿐만 아니라 ‘님’ 자를 붙였기 때문이다. 내부 인사를 공식적으로 언급할 때 그 이름에 ‘님’ 자를 붙이는 것은 실례인데 한국인들은 이 실수를 너무나 많이 한다. 그리고 ‘회장’이라는 것은 공식적인 직함이 아니기 때문에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우리는 모두 일반인이기 때문에 구 회장의 경우처럼 ‘구 공’이라고 쓰는 것이 합당하다.

또 다른 부고들을 보면 ‘미망인’이라는 단어가 나오고 자식의 순서도 아무리 어려도 아들부터 나열하는 것이 종종 있다. 그런데 구 회장의 부고에는 이런 것이 일절 없었다. 나는 자식을 나열할 때 아들부터 적는 것을 극력 싫어한다. 아들 중시의 가부장제도라 그렇다. 그래서 앞으로는 태어난 순서로 적으면 좋겠다. 우리도 조선 초까지는 족보에 아들딸 가리지 않고 태어난 순서대로 적었다.

그리고 장례식장에 사람들을 부르지 않은 것도 바람직했다. 한국의 장례식장에는 쓸데없이 사람을 많이 부른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고인에 대한 추모나 유족에 대한 위로를 찾아보기 힘들다.

조화(弔花)를 받지 않은 것 역시 크게 칭송할 만하다. 조화는 대표적인 허례이자 낭비인데 구 회장은 이것도 털어냈다. 마지막으로 화장과 수목장으로 마무리한 것도 좋다. 우리가 죽은 지 50년 지나면 거의 아무도 우리를 기억하지 않는다. 구 회장은 이것을 알았는지 흔적을 남기지 않고 가셨다.

앞으로 임종이나 장례에서 구 회장을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래야 한국인의 장례에서 허례가 빠지고 아름다운 마무리가 가능해 사회가 한층 더 성숙할 수 있다.
2018-05-28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