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처럼 살 수 없었던 청년의 이야기

더 스미스(The Smiths)는 1980년대 영국에서 활동한 록 밴드다. 이들은 라디오헤드와 오아시스 등 후배 뮤지션에게 많은 음악적 영향을 끼쳤는데, 그 중심에 더 스미스의 보컬과 작사를 맡았던 모리시가 있었다. 그에게는 ‘브릿팝의 셰익스피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그만큼 모리시가 지은 가사가 문학적이었다는 뜻이다. 이 영화의 제목 ‘잉글랜드 이즈 마인’도 그가 쓴 가사에서 빌려 왔다. ‘여전히 아파’(Still ill)라는 곡이다. “오늘 나는 선언할 거야. 삶은 그저 빼앗아갈 뿐이고 가져다주는 건 없다고. 잉글랜드는 내가 사는 나라야(England is mine). 나를 살아갈 수 있게 해 줘야지. /…/ 우리는 더이상 낡은 꿈에 매달릴 수 없어.”
이처럼 모리시는 당시 영국 사회의 엄숙주의에 반감을 담은 노래에도 서정적인 가사를 붙이기로 유명했다. ‘잉글랜드 이즈 마인’은 바로 이런 그를 조명한 영화다. 한데 이 작품은 더 스미스로 명성을 떨치기 이전의 모리시, 그러니까 스티븐으로 불리던 그의 데뷔 전 시절만 다룬다는 점이 독특하다. 비유하자면 이 영화는 팔랑팔랑 나는 나비의 전성기가 아니라, 꾸역꾸역 기면서 하루빨리 나비가 되기를 바랐던 유충의 고난기와 같다.

1970년대 맨체스터에 살던 청년 스티븐(잭 로던)의 생활은 어땠나. 그는 항상 공책에 뭔가를 끄적거린다. 예컨대 나중에 더 스미스의 가사로 승화된 다음과 같은 문장 말이다. “인생은 그 따분함으로 볼 때 피할 만하다.”

스티븐은 자기 처지에 불만이 많다. 그럴 만도 한 것이 그가 스스로를 음악에 관한 ‘무명의 천재’로 여기는 데 비해, 그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은 사무 보조인 탓이다. 생계를 꾸려야 한다는 압박감에 직장을 다니는 스티븐. 그러다 보니 업무를 열심히 할 리 없다. 지각은 자주, 결근은 종종, 태업은 눈치껏 한다. 그런 그에게 상사가 분통을 터뜨리며 말한다. “왜 남들처럼 할 수 없나?” 상사의 입장도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스티븐은 ‘남들처럼’ 이미 주어진 세계에 잘 적응할 수가 없었다. 그는 자신만의 온전한 세계를 창조하려는 예술적 기질로 충만했으니까.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아티스트 린더(제시카 브라운 핀들레이), 기타리스트 빌리(애덤 로렌스) 등과 친구가 되면서 스티븐은 본인이 진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점점 깨닫는다. 그는 밴드에 합류해 무대에 서기로 한다. 물론 거기까지 이르는 과정과 이후의 상황은 그에게 마냥 우호적으로 펼쳐지지 않는다. (결말 부분이 비약으로 느껴지기도 하나) 스티븐이 모리시가 되기 위해서는 더 긴 고통의 시간이 필요했다. 이렇게 보면, 마크 길 감독은 이 작품에서 ‘새로운 꿈을 꾸는 계속적인 의지’를 강조하는 듯하다. 이는 세속적 성공의 추구와는 무관하다. 다만 “더이상 낡은 꿈에 매달릴 수 없는”, 도무지 평범하게 살 수 없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