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전 참전했다가 못 돌아온 7704명… 일일이 호명한 美

한국전 참전했다가 못 돌아온 7704명… 일일이 호명한 美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8-12 22:36
업데이트 2018-08-12 2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종자 가족 등 250여명 9시간 호명식…유해 55구 송환과 맞물려 기대감 커져

“이등병 도널드 레이먼드 에이블, 중사 프랜시스 하워드 어빌….”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국전쟁기념공원에서 6·25 전쟁 포로(POW)·전쟁실종자(MIA) 7704명의 이름과 계급이 한 명씩 호명됐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9시간 동안 실종자 가족과 참전용사, 자원봉사자 등 250여명의 낭독자들이 1인당 30명의 이름을 알파벳 순서로 일일이 불렀다. 넋이라도 고국으로 돌아오라는 마음과 이들의 유해가 하루빨리 가족 품으로 돌아오길 기원하는 희망이 합쳐진 행사였다.

이날 ‘호명식’은 지난 1일 55구의 미군 유해가 송환된 것과 맞물리면서 ‘가족’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도 더욱 커진 분위기였다. 스물세 살의 꽃다운 나이로 한국전에 참전했던 삼촌, ‘중위 찰스 멜빈 앤드루스’의 이름을 부른 주디스 브리턴(72)은 “이번에 돌아온 유해 가운데 삼촌이 있었으면 좋겠다”면서 “유해 신원 확인작업이 시간은 걸리겠지만, 가족들이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는 만큼 빨리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켈리 매키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은 “이 나라는 결코 (그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키그 국장은 북·미 미군유해 추가 공동발굴에 대해 “날씨 문제로 (발굴 작업을 하는 데 있어) 3월 중순에서 10월까지로 제한돼 있다”고 설명했다. DPAA는 이번 가을 북한과 후속 협상을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발굴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8-13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