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남북 화해시대의 문화재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남북 화해시대의 문화재

입력 2018-10-07 17:26
업데이트 2018-10-07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말 이스라엘은 ‘헤브론(알칼릴) 구시가지’가 팔레스타인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문제 삼아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했다. 유네스코 헌장의 규정에 따라 이스라엘은 올해 12월 31일 유네스코 회원국 자격을 상실한다. 이 사건에서 보는 것처럼 문화재가 종종 국제관계의 갈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이와 반대로 문화재를 촉매로 화해와 평화가 진전되는 경우는 없을까. 그런 사례가 많지 않을까 하는 기대 섞인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막상 그런 실례, 특히 상당 기간 동안 적대 관계에 있던 두 사회가 문화재를 매개로 평화의 길로 들어선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문화재를 둘러싼 국제적 교류는 주로 이른바 선진국이 후진국의 문화재 조사나 보호 활동을 돕는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드문 사례, 문화재가 평화 진전의 촉매가 되는 일이 바로 이 땅에서 일어나려고 한다. 최근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거치며 다시 논의되고 있는 개성의 고려시대 궁궐터 만월대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 말이다. 이미 남북한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만월대를 함께 발굴한 경험이 있다. 남북 관계의 악화로 지난 3년간은 그 일이 중단됐었다. 한편 2013년에는 만월대를 포함한 ‘개성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경사도 있었다.

지금부터 1100년 전 고려를 세운 왕건은 다음해인 919년 개성에 도읍을 정하고 그 북서쪽에 솟은 송악산 남쪽 기슭에 궁궐을 건축했으니 그곳이 만월대다. 그 뒤 고려시대(918~1392)의 대부분인 442년 동안 그 궁궐은 고려 왕조의 중심점이었다. 본래 한 켜의 성벽이 만월대를 감싸고 있었으나 세 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바깥으로 성벽을 한 켜 더 쌓아 방어력을 높인 결과 오랜 세월 궁궐을 보전할 수 있었다. 만월대는 1361년 홍건적의 침입으로 지상의 건물들이 불타 지금은 주초 이하의 구조물만 땅속에 남아 있다. 조선의 만월대라 할 경복궁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돼 300년 넘게 문을 닫음으로써 사용 기간이 200여년임을 생각할 때 만월대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장소의 지속 가능성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문화재라 할 만하다.

우리가 만월대 남북 공동조사의 재개에 기대를 거는 것은 그곳에서 깜짝 놀랄 만한 유물이 발견되거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이 드러나기를 바라서라기보다 작은 교류와 협력이 남북의 화해와 평화 그리고 나아가 통일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촉매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일 것이다. 문화재 보호의 가장 큰 보답은 그것이 개인과 사회의 정체성을 알려 준다는 점이다. 통일 국가 고려가 땅속에 남겨 준 문화재를 남북이 함께 조사하고 보호 방법을 찾는 과정은 우리가 하나의 민족임을 강하게 인식하고 재통일의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만월대 공동 조사가 다시 시작되면 발굴을 넘어서는 많은 일들이 진행되리라 기대된다. 사실 발굴은 문화재와 관련된 모든 것이 아니다. 문화재는 우리에게 발굴, 정비·복원, 활용으로 이어지는, 세대를 잇는 장기적인 과업을 부과한다. 순서는 그렇지만 생각은 그 반대로, 곧 활용부터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필요한 복원이나 정비 그리고 발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문화재 활용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문화관광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문화관광의 의미는 경제적 측면도 있지만 방문자들이 그 지역과 장소, 그곳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에 있다. 만월대 공동조사가 우리 민족의 문화재를 넘어 전 인류의 유산인 만월대를 북한 관광의 중요한 목적지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우리는 물론 전 세계인이 역사도시 개성과 한민족을 이해하는 통로를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2018-10-0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