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황 첫 방북 가시화… 한반도 ‘항구적 평화체제’ 힘 받는다

교황 첫 방북 가시화… 한반도 ‘항구적 평화체제’ 힘 받는다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8-10-18 22:24
업데이트 2018-10-19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초청 수락’ 의미·전망

교황 “형제애로 화해·평화 정착 노력을”
北 비핵화·美 체제보장 약속 ‘공증’ 효과
남·북,북·미 관계 선순환 원동력 될 듯
전문가 “종전선언 앞당기는 환경 조성”
이미지 확대
文, 성모마리아상·예수 그리스도 부조 선물… 교황은 묵주·올리브 가지 ‘답례’
文, 성모마리아상·예수 그리스도 부조 선물… 교황은 묵주·올리브 가지 ‘답례’ 문재인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교황청을 공식 방문한 자리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선물로 준비한 성모마리아상과 예수 그리스도 부조에 담긴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바티칸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북 초청에 프란치스코 교황이 수락 의사를 밝히면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황의 방북은 북한의 비핵화와 미국의 체제안전보장 약속에 대해 세계적인 관심을 환기시키고 ‘공증’하는 효과에, 남북 및 북·미 관계의 선순환을 추동하는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교황의 방북은 최초다. 교황청과 북한의 공식 접촉도 2002년 5월 관계 개선차 교황청 인사들이 방북한 뒤 16년 만이다.

줄곧 한반도 평화 노력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던 교황은 이날도 교황청을 찾은 문 대통령에게 “남북 정상회담의 긍정적 결과를 지지하고 핵무기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한 남북 지도자들의 용기를 평가한다”며 “형제애를 기반으로 화해와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전 세계와 함께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방북 성사까지 교황청과 북한은 외교적 협의를 통해 방북 일정을 조율하고, 교황청은 북한 내 종교의 자유나 인권 문제를 검토할 수 있지만, 교황이 직접 의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방북은 사실상 성사된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교황 초대는 삼고초려다. 김일성 주석이 1991년 첫 교황 방북을 추진했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반대로 무산됐다. 2000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대 의사를 교황청에 전했다. 하지만 교황청이 북한의 가톨릭 교회 인정, 가톨릭 신부 상주 허용 등을 요구했고 북측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무산됐다. 이에 비해 비핵화의 대가로 경제개발 노선을 택한 김 위원장은 교황이 북한 주민들과 직접 접촉해 오는 변화의 충격을 감수하겠다는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대화조차 없던 남북 관계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올해 들어 급격히 진전된 상황에서 교황의 방북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추동력이 될 전망이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교황의 방북은 비핵화 협상을 되돌릴 수 없다는, 즉 아무도 판을 깰 수 없다는 것”이라며 “김 위원장 입장에서 일종의 보호판을 가질 수 있고, 부정적 이미지를 순화시킬 수 있다. 문 대통령은북 비핵화를 교황에게 공인받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교황의 방북은 (평양정상회담에서) 남북이 전쟁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에 대한 증표가 되므로 미국이 종전선언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며 “특히 전 세계에 남북이 긴장이 아닌 평화 상태라는 것을 알려 남북 관계를 촉진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교황은 북한을 고립국가에서 정상국가로 변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교황의 방문에도 북한이 억압적 종교정책을 유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선교 활동의 자유는 없어도 교회 활동은 인정하는 중국의 종교 정책 모델을 따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10-19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