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당근 1개까지 기록하는 국공립… 총액만 대충 적는 사립

당근 1개까지 기록하는 국공립… 총액만 대충 적는 사립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8-10-18 22:18
업데이트 2018-10-18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치원 회계장부 분석해 보니

“색종이 1장, 당근 1개 산 것까지 다 적어야 해요. 원장·원감뿐 아니라 교사, 교육청이 다 보는데 허투루 쓰긴 어렵죠.”
이미지 확대
서울 강북지역의 한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18일 에듀파인 프로그램에 접속해 회계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국내 모든 초·중·고교와 국공립유치원은 이 시스템으로 회계 관리를 한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서울 강북지역의 한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18일 에듀파인 프로그램에 접속해 회계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국내 모든 초·중·고교와 국공립유치원은 이 시스템으로 회계 관리를 한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에듀파인’ 교사·교육청에도 실시간 공개

18일 서울 강북 소재 국공립 B유치원 원장인 최미선(가명)씨는 사무실 컴퓨터 모니터에 창 하나를 띄운 뒤 말했다. 정부가 만든 회계 프로그램인 ‘에듀파인’이다. 화면 안에는 유치원의 지출 내역이 인건비, 운영비 등 50~60개 항목으로 구분돼 꼼꼼히 정리돼 있었다. 최 원장은 “공금을 쓰면 1원 단위까지 영수증을 붙여야 하고, 현금 결제하면 해당 업체의 사업자등록증과 통장 사본까지 챙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듀파인은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뜨거운 감자’다. 적지 않은 사립유치원 설립자·원장 등이 원비를 쌈짓돈처럼 써 온 사실이 유치원 실명과 함께 공개되면서 “사립유치원도 회계를 낱낱이 공개하라”는 요구가 거세졌다. 전국 사립유치원 4280곳이 매년 지원받는 정부 예산은 약 2조원이다.

에듀파인은 회계 부정을 예방하거나 사후 적발할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꼽힌다. 현재 전국 초·중·고등학교와 국공립 유치원에서는 이 프로그램으로 공금 통장에 들어온 돈과 나간 돈을 정리한다. 또 학부모 등으로부터 비리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시·도 교육청에서 실시간으로 에듀파인을 통해 특정 유치원의 회계 장부를 볼 수 있다. 1명에게 급여가 중복 지급되는 등 미심쩍은 자금 흐름이 포착되면 ‘클린행정 시스템’ 프로그램이 자동 인지해 교육청에 의심 신호를 보내기도 한다.

서울신문이 실제 B유치원에서 프로그램을 확인해 보니 에듀파인을 쓰면 정부 지원금이나 학부모가 낸 원비를 함부로 쓰기 어려워 보였다. 온라인 회계 장부를 원장·원감·교사 등 여럿이 접속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 원장은 “물품 하나 사려면 교사가 품의서를 올려 원감, 행정실장 등 총 7번의 결재·확인 과정을 거쳐 비용이 최종 지급된다”고 말했다.

●사립, 원장 등 소수 간부만 회계 볼 수 있어

반면 시·도 교육청 감사에서 심각한 회계 부정이 적발된 사립유치원들은 엉성한 회계장부로 돈 관리를 해 왔다. 모든 유치원은 ‘유치원 알리미’ 사이트에 회계 정보를 공시해야 하는데 비리유치원들은 예산을 쓴 내용을 인건비, 운영비 등으로 항목을 대충 묶어 총액만 적는 사례가 많았다. 사립유치원에서 일해 본 B유치원의 한 교사는 “사립유치원에서는 돈 쓸 때 교사가 원감에게 유치원 자체 양식대로 품의를 올려 결재받으면 끝”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원장 등 소수 간부만 유치원 전체 회계를 들여다볼 수 있어 비리가 있어도 교사들은 알기 어렵다는 얘기다.

교육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전국 사립유치원에 에듀파인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별도의 회계 시스템을 만드는 안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새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시간이 걸려 자칫 여론이 잠잠해진 틈을 타 개혁 움직임이 사그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 원장은 “사립유치원은 영세한 곳이 많아 회계 전담 인력을 둔 곳이 많지 않다”면서 “에듀파인을 도입한다면 인력이 충원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8-10-19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