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땅강아지/이두걸 논설위원

[길섶에서] 땅강아지/이두걸 논설위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8-10-21 23:10
업데이트 2018-10-22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주말 충남 서천의 처가를 방문했다. 황금빛으로 물든 들녘을 걷다가 수풀 사이로 무언가 꾸물거리는 게 눈에 들어왔다. 손가락 마디만 한 갈색의 곤충이 바둥대며 몸을 숨기고 있었다. 순간 눈을 의심했다. 땅강아지였다.

‘사실상’의 내 고향은 서울이지만 외곽에서 자라 반농반도(半農半都) 출신에 가깝다. 어릴 적 서울 외곽은 논밭이 지천이었다. 집에서 10여분만 걸어 나가면 논두렁을 쉽게 밟을 수 있었다. 땅강아지에 대한 기억은 어렴풋한 수준이다. 그러나 조심스레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꿈틀대던 땅강아지의 움직임은 손끝에서 생생하게 남아 있다. 오감의 여느 감각 못지않게 촉각 역시 기억의 훌륭한 그릇이다.

곤충은 영 정이 안 간다. 모기를 히스테리에 가까울 정도로 싫어한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대학 시절 여러 차례 농촌 봉사활동을 떠났으면서도 귀농은 언감생심인 까닭이다. 그럼에도 곤충은 죄가 없고, 화살은 스스로에게 돌려야 한다는 점도 잘 안다. 오염된 토양에서 서식할 수 없다는 땅강아지에게 ‘삶의 터전’을 보장하는 건, 하찮은 도덕심이나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의 발로가 아닌, 지구상에 존재하는 우리 모두를 위해서라는 걸 다시 깨닫는다.

douzirl@seoul.co.kr
2018-10-22 29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