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파랗게 질린 코스피… “상승 동력 안 보여 연말까지 더 빠질 수도”

파랗게 질린 코스피… “상승 동력 안 보여 연말까지 더 빠질 수도”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8-10-28 22:44
업데이트 2018-10-28 2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서치센터장들 증시 긴급 진단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시장에 부정적
美금리 인상·투자 심리 악화도 변수로

2000선 안팎 약세장에 혼란 확대 우려
5명 중 3명 ‘폭락 지지선’ 제시도 안 해
이미지 확대
코스피가 나흘째 연저점을 갈아 치우면서 지난해 연초 수준으로 뒷걸음질 쳤다. 당장 2000선도 위태롭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주식을 4조 5000억원가량 팔아 치웠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코스피가 연말까지 더 빠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미·중 정상회담 결과나 기업 실적 전망에 따라 시장이 반등할 수도 있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달 들어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3.2%를 넘어서면서 주식 시장은 패닉이 시작됐다. 코스피는 지난 11일 4% 넘게 추락한 ‘검은 목요일’ 뒤 일주일은 횡보하다가 지난 23일부터 계속 떨어지고 있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증시는 호재를 찾기 어려워 짙은 안개가 끼어 있다”며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나 미국 기준금리 인상, 대내적으로는 경기 침체 우려와 기업 이익에 대한 고점 논란이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다”고 진단했다.

서울신문이 28일 대형증권사 리서치센터장 5명에게 이번 폭락의 지지선을 물었더니 3명은 하방 지지선을 제시하지 않았다. 당장의 펀더멘털(기초여건)보다 센티멘털(심리) 때문에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2000선 안팎의 약세장이 이어지면서 금방 깨질 수 있는 단기 지지선을 제시하면 시장의 혼란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배경이다. “지금 증시와 관련해 할 말이 없다”며 진단을 거절한 센터장도 있었다. 이는 바닥을 모르는 상황에 시장이 겪는 불안감과 고통을 방증한다.

지지선을 1950으로 제시한 신동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아직까지 실물 부문에서 미·중 무역분쟁 영향이 가시화되지는 않고 있지만 장기화되면 결국 내년부터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 반영되고 있다”면서 “양국 갈등이 진정되지 않으면 주가 조정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고 봤다. 윤 센터장은 “2008년과 달리 금융위기 조짐은 없고 2011년보다 경기 상황이 나쁘다고 판단하면 12개월 확정 실적 기준 주가순자산비율(Trailing PBR) 0.9배 수준인 2000선이 단기 저점”이라고 분석했다.

증시가 반등할 수 있을까. 서영호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수가 반등하기 위해서는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되면서 미국 기업들의 비용 증가 압력이 줄거나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등 악재가 줄어드는 신호가 먼저 나와야 한다”면서 “무역 갈등이 완화된다는 기대는 높지 않아 오는 12월 미국 경제 지표가 둔화되는지가 중요하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개인투자자들에게 당분간 주식 투자는 경계하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시장 흐름을 주의 깊게 살피라고 권한다. 다음달에는 미국의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 재개(4일)와 미국의 중간선거(6일) 등이, 12월에는 미국 금리 인상 논의(19일) 등 굵직한 일정이 예정돼 있다.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 증시는 내년 상반기까지의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한 수준이지만 앞으로 남은 이슈들에 대한 우려감이 높고 상승 동력이 보이지 않는다”면서 “미·중 무역분쟁과 무관한 국내 고유 성장성을 가진 성장주 등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10-29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