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상’ 바로잡고 문맥 가다듬은 ‘역주 목민심서’ 40년 만에 개정판

‘미상’ 바로잡고 문맥 가다듬은 ‘역주 목민심서’ 40년 만에 개정판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1-07 17:07
업데이트 2018-11-07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민심서는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의 거울” 평가

임형택 성균관대 명예교수(왼쪽)와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역주 목민심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1978년 1권이 나온 이후 40년만이다. 창비 제공.
임형택 성균관대 명예교수(왼쪽)와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역주 목민심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1978년 1권이 나온 이후 40년만이다. 창비 제공.
다산 정약용이 유배 마지막 해인 1818년 완성한 ‘목민심서’ 집필 200주년을 맞아 국내 유일의 완역판이 전면 개정해 나왔다. 1978년 1권 출간 이후 무려 40년 만이다.

출판사 창비는 7일 서울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유일한 완역본 목민심서인 ‘역주 목민심서’ 전면개정판을 출간한다고 밝혔다. 개정판은 임형택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교열과 편집 책임을 맡았다. 2015년 작업에 착수한 이래 3년 만의 성과물이다.

개정판은 종전 6권에서 한 권 늘어난 7권으로 구성했다. 각 권 마지막 부분에 실었던 원문을 모아 7권에 수록했다. 개정판 출간은 젊은 독자도 쉽게 읽도록 현대적 감각으로 글을 다시 썼다. 한자어를 풀어쓰면서 주석의 전체 분량은 줄었다. 그러나 치밀한 고증을 거쳐 좀 더 정교해졌다. 번역문과 원문을 꼼꼼하게 대조하고, 40년간 축적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명과 지명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덕분이다.

예컨대 1권 첫 부분 ‘임명을 받음’은 1978년 판은 ‘활리’를 단순히 ‘교활한 아전’이라 주석을 달았다. 그러나 개정판은 ‘각 고을의 아전을 가리킴. 이들 부류가 대체로 교활하기 때문에 활리라는 표현을 쓴 것’이라는 식으로 의미를 분명히 밝혔다. 이밖에 ‘반자진’, ‘노준’과 같은 인물은 1978년 판에서는 조사가 부족해 모두 ‘미상‘으로 표기했다. 그러나 개정판은 반자진에 관해 ‘중국 북송 때 인문인 반순. 자진은 자이다. 시인으로 유명하다’고 설명한다.

노준에 관해서도 ‘중국 당나라 때 유종원의 제자’라고 표현했다. 임 교수는 이와 관련 “당시에 치열하게 연구했지만, 정보가 부족해 미상으로 남겨둔 부분이 많았다”면서 “개정판 목민심서에서는 그동안의 연구가 더 쌓이고 중국 쪽의 자료를 참조해 많은 부분을 분명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출판사 창작과비평사는 1978년 1권을 내고 1985년에야 6권으로 완간했다. 당시 한국 한문학의 태두로 일컬어지는 벽사 이우성 선생을 필두로 정치, 경제, 경영 등 분야에서 다산학에 정통한 각계 전문가의 학술 모임인 ‘다산연구회’ 16인이 참여해 번역하고 주석을 붙여 낸 것이다. 연구회원 가운데 7명은 고인이 됐고, 송 교수를 비롯해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임형택 성균관대 명예교수 등 9명은 지금도 활동한다.

10년에 걸친 결과물은 국내 유일의 완역본으로서, 이후 ‘불후의 고전’으로 자리 잡으며 10만권 이상을 냈지만, 완역본을 찾는 이들이 줄면서 자연스레 출간을 중단했다. 세월이 지나며 개정에 관한 논의가 나왔으나, 분량이 워낙 방대한 데다가 고증이 어렵고, 오역도 많아 엄두를 내지 못했다.
임 교수는 이와 관련 “절판 상태에 가까운 역주 목민심서를 역사로 남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 전면개정판을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과 한국에서 비슷한 행정 실무지침서가 나왔지만, 분량과 내용 면에서 목민심서에 비견할 만한 책은 없다”며, 그 이유로 “다른 행정 실무지침서와 달리 지방 장관으로서 청렴을 강조하는 점, 그리고 구호에 그치지 않고 애민 사상을 민주적 사상이 스며 들은 책은 목민심서가 유일하다”고 했다.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다산연구회 회장)는 이와 관련 “다산은 지방 행정관의 청렴을 한결같이 강조했고, 겉치레가 아니라 진심으로 백성을 사랑해야 한다고 적었다”고 했다. 송 교수는 “다양한 학문에서 두루 깊이 있는 성과를 낸 다산은 19세기 서양 학자들과 견줘도 조금도 뒤지지 않는 세계적 학자”라며 “그가 쓴 목민심서는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의 거울”이라고 평가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