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삼복더위에 밍크코트를…/손성진 논설고문

[그때의 사회면] 삼복더위에 밍크코트를…/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6-23 17:44
업데이트 2019-06-2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기밥솥 싹쓸이 쇼핑 실태를 고발한 기사(동아일보 1990년 10월 21일자).
전기밥솥 싹쓸이 쇼핑 실태를 고발한 기사(동아일보 1990년 10월 21일자).
국제선 비행기가 도착하면 한바탕 난리를 치렀다. 외국에서 온갖 물건을 사들고 들어오는 승객들 때문이었다.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전기청소기, 녹음기, 전축, 전기밥솥, 석유난로 등 큰 가전제품부터 옷가지, 화장품까지 다양했다. 심지어 대형 소파도 갖고 들어왔다. 세금을 물지 않을 것 같아 삼복더위에 밍크코트를 걸치고 들어오는 여인들도 있었다. 1970년대 초 김포공항 풍경이다. 백화점도 차릴 만한 물건들을 가지고 들어오는 사람들은 정치인, 경제인, 공무원, 학자 등 식자층과 부유층이었다. ‘엑스포 70’ 시찰차 일본에 다녀온 어떤 사람은 무려 보따리 28개를 들고 왔다고 한다(경향신문 1971년 1월 18일자).

해외여행 자유화의 문이 열린 1980년대 중반부터는 일반인들의 본격적인 싹쓸이 쇼핑이 시작됐다. 해외에 나간 주부들의 손에는 일제 밥솥이 꼭 한두 개씩 들려 있었다. “한국 주부들이 시모노세키에서 일본 상품을 산더미처럼 사 갔다.” 일본에서 쇼핑한 물건을 두 손에 다 못 들어 발로 밀고 들어온 한국 주부들의 실태를 꼬집은 일본 아사히신문 사회면 1단짜리 기사다. 더욱이 그 장본인들이 소비자보호운동을 한다는 여성 지도층이어서 국내에서 난리가 났다(경향신문 1984년 1월 19일자).

이 쇼핑 관광 사건은 국무회의에서 논란이 되고 당시 상공부 대책회의 석상에도 올랐다. 그러나 상공부의 분위기는 냉랭했다. “국산 밥통(사실은 밥을 짓는 밥솥)도 기능상 아무런 손색이 없다. 여인네들의 망국병이며 치유 불능의 고질병이다.” 관계와 재계는 국산품 애용을 외치며 여성들을 비난했다. 그러자 주부클럽연합회 회의실에서 공무원들과 업계를 성토했다. 밥솥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하면서 식구들에게 따뜻한 밥 한 그릇 먹이려는 여성들에게 돌을 던질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여론에 밀려 국립공업시험원은 국산과 일제 밥솥을 완전히 분해해 놓고 성능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확실히 국산이 뒤떨어져서 정부는 업계에 압력을 넣어 품질을 크게 개선한 국산 밥솥을 개발했다. 그 이후 밥솥 쇼핑은 크게 줄었다. 국산품 과보호가 산업 발전에 역행한다는 점을 보여 준 사례였다. 그러나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유화로 여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일제 밥솥 싹쓸이 쇼핑은 1990년대 초까지 계속됐다. 1990년 아시안게임 관람차 중국 베이징을 찾은 한국 관광객들이 우황청심환, 편자환, 웅담, 녹용 등을 싹쓸이하는 바람에 약국 물건이 동나기도 했다. 이를 본 중국인들은 “한국에 환자가 얼마나 많기에 그러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2019-06-2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