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취업자 45만명 ‘깜짝 증가’… 기저효과·노인 일자리 영향도

8월 취업자 45만명 ‘깜짝 증가’… 기저효과·노인 일자리 영향도

하종훈 기자
입력 2019-09-11 16:56
수정 2019-09-11 2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취업자 수 2년 5개월 만에 최대폭 늘어

고용률도 61.4%로 22년 만에 가장 높아
정부 “정책 효과… 양적·질적 크게 개선”
1년 전 ‘고용 참사’에 따른 기저효과 커
“재정으로 만든 노인 일자리 10만명 기여”
지난달 취업자 수와 고용률, 실업률 등 고용 3대 지표가 모두 개선됐다. 취업자는 1년 전보다 45만여명 증가해 2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용률은 8월 기준으로 22년 만에 가장 높은 61.4%였다. 실업률은 6년 만에 최저 수준인 3.0%을 나타냈다. 정부는 정책 효과에 힘입어 양적·질적 성장이 이뤄졌다고 반색했다. 하지만 1년 전 고용 한파에 따른 기저효과와 재정으로 만든 노인 일자리사업이 영향을 미친 만큼 ‘반짝 호황’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35만 8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45만 2000명 늘었다. 월별 증가폭으로는 2017년 3월(46만 3000명)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대치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좋은 기록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그간 정부가 재정을 적극적으로 운용해 온 만큼 정책 효과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도 “고용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이 45만명을 돌파한 것은 비교 대상인 지난해 8월 취업자가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친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30만명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으나 그 이상 늘어난 것은 기저효과로만은 설명할 수 없다”며 “고용에 영향을 많이 주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회복세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취업자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 4000명), 숙박음식점업(10만 4000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8만 3000명)에서 많이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 취업자(-2만 4000명)는 감소세를 이어 갔으나 조선·자동차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 7월(-9만 4000명)보다 감소폭이 둔화됐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39만 1000명, 50대 13만 3000명, 20대가 7만 1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는 12만 7000명, 30대는 9000명 각각 감소했다. 특히 40대 취업자는 전월(-17만 9000명) 대비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우리 경제의 허리와 근간인 40대와 제조업에서 취업자 감소폭이 줄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다. 통계청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사업이 10만명가량 기여했다고 추산했다.

지난달 고용률(15세 이상)은 61.4%로 1년 전보다 0.5% 포인트 오르며 1997년 8월 이래 2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5~64세 고용률은 67.0%로 1989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취업자가 급증하면서 지난달 실업자는 85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 5000명 감소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2013년 8월(78만 3000명)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6년 만에 가장 적었다. 이에 힘입어 실업률은 3.0%로 1년 전보다 1.0% 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2%로 같은 달 기준 2012년(6.4%) 이후 최저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저효과와 재정 투입에 의한 일자리 창출이 지속가능하다고 보긴 어렵다”면서 “통계로는 개선됐을지 몰라도 체감 고용 상황은 여전히 나쁘다”고 평가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서울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9-1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