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심리학의 세상 유람] 시험에 몰리는 여성들

[심리학의 세상 유람] 시험에 몰리는 여성들

입력 2019-09-24 11:04
업데이트 2019-09-26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진경 전 충북대 심리학과 교수
정진경 전 충북대 심리학과 교수
편견은 원래 집요하다. 팩트체크를 해도 별 소용이 없다. 개인의 가치관과 신념들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사실과 다르다고 밝혀져도 잘 변하지 않는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능력이 우월하다는 편견도 그렇다. 어느 사회심리학자가 하나의 글을 두 집단에게 보여주고, 얼마나 잘 쓴 글인가 평가하라고 했다. 한쪽은 저자 이름을 여자로, 한쪽은 남자로 표기했다. 저자가 여자라고 생각한 집단은 같은 글에 더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자기가 객관적 평가를 했다고 생각했다. 그 후 수많은 연구에서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대학원 다니면서 이 실험결과를 처음 읽었을 때 기가 막혔다.

한 세대 전만 해도 중·고등학교에서 남학생들의 성적이 더 좋았다. 여학생들은 대부분 으레 그러려니 했고 넘을 수 없는 벽 같은 것을 느꼈다. 하지만, 알고 보니 그 벽은 의외로 가볍게 무너지는 것이었다. 요즘은 여학생들의 성적이 더 좋다는 것이 상식이다. 남자 중학생의 학부모들은 아들을 남자고등학교에 보내려고 이사도 불사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남녀공학에서 남학생들의 내신성적이 여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대학 입시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남학생의 학부모들이 남녀의 반을 나눠달라, 내신성적을 따로 내어달라고 시위를 한 적도 있다. 그렇게 되니 한 학교에서는 이과반 여학생 전원이 항의의 뜻으로 집단 자퇴서를 내기도 했다. 세상 변하는 것 재미있다.

남학생들이 공부를 더 잘했을 때, 사람들은 그들이 더 우수해서 그렇다고 생각했다. 이제 여학생들이 더 공부를 잘하는데, 여전히 어떤 이들은 그들이 더 우수하기보다는 그저 시험을 잘 본다, 성적을 더 잘 딴다고 생각한다. 이해와 추론이 필요한 과목보다 달달 암기하는 과목을 잘한다고도 한다. 여학생들이 더 “약아서, 바지런해서, 꼼꼼해서, 독해서” 성적을 잘 올린다고 여길 뿐, 능력이 우수하다고 인정해주는 데는 인색하다. 편견이 집요해서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한 고등학교 교사는 “여학생들이 우수해요. 성실해서 그래요”라고 명쾌하게 설명해 주었다.

대학에서도 여학생의 성적이 일반적으로 남학생보다 높다는 것은 교수라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내가 있던 대학에서는 어느 해 졸업식에서 여학생이 전체 수석과 12개 단과대학 중 10개 대학의 수석을 휩쓸었다. 남학생들이 더 우수할 것으로 대개 기대하는 공대, 의대로부터 법대, 경영대에 이르기까지 여학생들이 수석을 했다. 이런 현상은 다른 대학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삼군 사관학교가 여학생들에게 문호를 개방한 이후, 소수 밖에 뽑지 않는데도 여학생이 수석 합격, 수석 졸업을 수시로 한다. 이젠 신기할 것도 없다.

졸업한 이후에는 어떤가. 정정당당한 모든 경쟁에서는 여성들이 능력을 증명해 가고 있다. 요즘 젊은이들이 몰려드는 공무원시험에서 2018년 여성합격자 비율은 53.9% 다. 모든 어려운 전문직 국가시험에서 “여풍”이 분지도 한참 되었다. 2018년 외무고시 여성합격자 비율은 60%이다. 사법시험, 의사시험, 교직시험 등 모든 국가고시에서도 여성 합격자 비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여성이 국가고시로 몰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시험을 보면 일단 실력 순으로 취직이 되기 때문이다. 다른 곳에는 아직도 차별이 만연하다. 사회적으로 성평등이 이루어진 정도를 평가하는 세계경제포럼의 성별격차지수에서 한국은 세계 144개국 중 115위(2018년)를 했다. 우리나라가 그런 성적을 받고도 분발하지 않은 분야가 또 있던가? 만약 축구 대표팀의 순위가 그랬다면, 감독을 교체하고 제대로 좀 하라고 온 나라가 떠들썩했을 것이다.

능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시험이 없는 곳, 지명받거나 선출받아야 채용되는 모든 곳에서 성실하고 우수한 여성들은 고전한다. 그들이 꿈을 펼쳐보고 싶은 수많은 분야에는 시험이 없고 그들은 견고한 벽을 넘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고 있다. 사장을, 교수를, 국회의원을 시험 봐서 성적순으로 뽑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참고로 2013년 신규판사 임용에서 여성은 87.5%를 차지했다. 사법연수원 성적순으로 된 것이다. 그 몇 해 전부터 앞으로 우리나라 판사는 전부 여자가 할 거라고 탄식하는 소리가 나왔다. 그 해를 마지막으로 수십 년 간 유지되던 신규판사 임용제도가 바뀌었다. 왠지 의심을 떨칠 수 없는 내가 이상한 것일까?

근 20년 전에도 나는 어느 신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쓴 적이 있다. 오랜 세월의 성차별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시적으로 여성공무원 할당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여성계가 주장하던 시절인데, 당시 극심한 반대가 쏟아졌다. 이제 여성들이 실력으로 할당제가 필요 없게 만드니, 급기야 곳곳에서 여성의 비율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차별의 벽을 치고 있다. 딸들, 후배들이 당하는 좌절과 고통을 지켜보며, 입시, 취업 승진에서의 성차별이

라는 심각한 인권문제를 우리 사회는 언제나 해결하려나 안타깝다. 나의 편견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차별을 방관하거나 묵인하는 것도 차별이다. 앞의 심리학 실험에 지금 참가한다면 과연 저자 성별에 무관하게 글만 보고 공정한 평가를 내릴 수 있을지, 우리 모두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볼 일이다.

정진경 전 충북대 심리학과 교수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