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시중은행의 생산성/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시중은행의 생산성/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9-11-17 17:40
업데이트 2019-11-17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월엔 주요 시중은행의 하반기 공개 채용 합격자가 발표된다. 정부의 일자리 장려 정책에도 채용 규모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굳이 은행 지점에 가지 않아도 스마트폰이나 인터넷뱅킹,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으로 거의 모든 업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 1월 8일 국민은행의 파업에도 고객들이 파업 사실을 느끼지 못했던 것과 같다.

금융위원회가 어제 내놓은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 방향’이라는 보고서도 이를 반영한다. 금융위에 따르면 은행권 취업자는 2015년 말 13만 8000명에서 지난해 말 12만 4000명으로 1만 4000명 줄었다. 설계사·모집인(-2만 5000명)과 비은행권(-2000명)까지 더해 금융권 전체 취업자는 4만 1000명이 줄었다.

금융위는 또 지난해 은행의 신규 기업대출(206조원)로 1만 3000명의 추가 고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과거 분석 결과를 인용한 것으로 대출의 고용유발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참고할 필요”가 있고, “고용 증가로 운영자금 수요가 늘어 대출이 늘기도 하므로 대출 증가에 따라 고용이 증가한다는 인과관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주석을 덧붙었다. 이런 주석이 붙는 숫자를 도대체 왜 발표했을까.

지난 6월로 거슬러 가면 답이 보인다. 당시 금융위는 일자리 중심 경제 달성을 위해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측정했다. 올해 시범운영으로 시중·지방은행의 자체 일자리 기여도와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지난 8월 공개하기로 했는데 3개월 늦어졌다. 비대면 거래 활성화로 은행원 수는 줄어드는데 어떻게 일자리를 창출하냐, 고용유발계수(10억원어치를 생산하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고용되는 인원수)가 사업시설관리업 15.9(2017년 기준), 도소매 10.8, 숙박음식 10.4 등 미래 산업과 거리가 있는데 이런 업종에 대출을 우대하라는 게 맞느냐 등등 은행권 반발에 부딪힌 것이 지연을 거들었다.

금융위가 지적했듯 금융권 일자리는 근로환경이 좋고 임금수준도 높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금융권 임금 비율(2014년 기준)이 미국은 1.01, 일본이 1.46인데 한국은 2.03으로 미국의 두 배다. 하지만 국내 은행의 올 3분기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04%로 세계적 금융사의 수준인 10%는 물론 금융연구원이 지난해 판단한 ‘최소한의 기본수익성’(8.0%)에도 못 미친다.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은 중요하다. 그래도 평균 연봉 1억원에도 파업하는 일자리를 늘릴 생각은 아닐 거다. 일자리 창출에는 일자리의 내용도 함께 가야 한다. 생산성 대비 낮은 연봉은 물론 생산성 대비 고액 연봉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답도 발표될 거라 믿고 싶다.

lark3@seoul.co.kr
2019-11-18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