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신천지(新天地)/박홍환 논설위원

[씨줄날줄] 신천지(新天地)/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2-24 22:44
업데이트 2020-02-25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화유수묘연거(桃花流水杳然去)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당나라 시인 이백의 ‘산중문답’ 중 한 구절이다. “복숭아꽃이 묘연히 흘러가니 이곳이야말로 사람들 없는 또 다른 천지 아닌가” 깊은 번뇌로 고민하는 인간 세상, 즉 천지와는 달리 골짝 물에 복숭아꽃이 흘러 내려가는 깊은 산중의 모습을 새로운 천지, 즉 다른 세상, 다시 말해 유토피아로 표현했다. 이 구절에 앞서 이백은 “왜 이 산속에 사느냐 물으면, 미소만 지을 뿐 대답하지 않아도 마음은 한가롭구나”(問余何意栖碧山, 笑而不答心自閑·문여하의서벽산, 소이부답심자한)라며 또 다른 천지를 꺼내들겠다는 운을 뗐다.

천지는 하늘과 땅을 아우르는 말로 세상, 세계 등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천자문의 맨 첫부분에 등장하는 한자가 하늘 천(天), 땅 지(地)라는 점에서 한자를 사용하는 동아시아 민족들에게는 유독 친밀한 단어이기도 하다. 한자어가 일상적이었던 과거에는 우주에 대한 기본 개념으로 천지라는 단어를 사용했다고도 한다. 경천동지(驚天動地)처럼 하늘과 땅을 하나의 연결된 세상으로 이해한 것이다. 하늘과 땅을 보며(天文地理·천문지리) 우주의 이치를 깨우치려고도 했다.

많은 사람이 지금 이 시점(세·世), 공동체(계·界) 속에서의 삶이 만족스러운 건 아니다. 그래서 이백처럼 신세계와 신천지를 꿈꾸지만 모두가 무지갯빛일 수는 없다. 영국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1932년)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된 미래 과학문명의 신세계를 신랄하게 풍자했다. 일제강점기 일부 혁신 기자들은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종합잡지 ‘신천지’(1921~1923년)를 발간하지만, 통권 9호만 내고 강제폐간됐다. 창간인 중 한 명인 백대진은 익명으로 쓴 발간사에서 “지금 우리의 눈앞에는 신시대의 기원이 획정되려 하고, 신천지의 페이지가 전개되려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제 패망 후 해방된 조국 사람들도 신천지를 고대했다. 서울신문이 1946년 1월 종합잡지 ‘신천지’를 창간한 배경이기도 했다. ‘신천지’는 발행부수가 당시 잡지계 최고인 3만부를 넘었다고 한다. 1954년 9월 통권 68호까지 발간됐다. 6·25전쟁의 혼란기에도 잡지 발행을 계속했다는 얘기다.

최근 몇 년간 기독교계 논쟁의 대상이었던 신천지 교회가 세상의 전면에 드러났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대량 전염 때문이다. 코로나19의 공포로 뒤덮인 세상을 꿈꾸지 않았다면 신천지 교회는 그 퇴치와 방역을 위해 보건 당국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신천지는 그 뒤에 설파해도 늦지 않다.

stinger@seoul.co.kr
2020-02-25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