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In&Out] 다문화와 통일/피터 워드 북한 전문 칼럼니스트

[글로벌 In&Out] 다문화와 통일/피터 워드 북한 전문 칼럼니스트

입력 2020-05-26 22:50
업데이트 2020-05-27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피터 워드 북한 전문 칼럼니스트
피터 워드 북한 전문 칼럼니스트
나는 다문화 사회에서 태어났고 유치원 시절부터 대학교에 다닐 때까지 여러 종족과 함께 교육을 받고 놀았다. 영국 런던이 다문화·다민족 공동체인 덕분이다. 런던을 떠나 한국으로 왔을 때 새로운 다문화 사회에 들어왔고 여기에 살면서 평소에 외국인이지만 좋은 취급을 받았고 손님 대우를 넘어 한국의 주민이 될 수 있을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는 한국이 2000년대부터 실시한 다문화 정책의 성과를 누리는 나의 경험이라 생각하기는 한다. 다른 측면으로 서울대 사회학과 김석호 교수 연구에서 나왔듯이 한국인들은 유럽인이나 북미인 등 백인들에 대해서는 거리감이 비교적 낮고 친근하게 느낀다는 여론조사들이 있다. 좋게 말하면 한국인은 같은 선진국의 시민과 잘 어울린다는 것이고 나쁘게 보면 백인에 대한 선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사회적 인식의 확산으로 한국인의 통일관이 달라졌을까? 통일의 핵심적 명분은 애초부터 현재까지도 ‘같은 민족’, 즉 단일민족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 같은 영국인이 한국에서 주민이 되고 가정도 꾸리고 귀화까지 할 수 있다는 다문화 사회 인식이 퍼진다면 북한사람은 어떻게 되나?

다문화 사회와 단일민족 개념은 공존할 수 있다고 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우리 국민이 될 수 있지만 우리 민족끼리 통일해야지’ 같은 의식이나, ‘다문화도 좋지, 하지만 우선 우리 핏줄부터 챙겨야지’ 같은 위계적 시민권 인식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토종 한국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지난해에 공동으로 한 실험적 조사에 따르면 일반 한국 시민(대한민국에서 태어난 한국인)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 정도가 다른 이주민(조선족과 여타 이주민)보다 높은 것으로 응답하지만 간접적으로 물어볼 경우 그 정도가 떨어져 다른 이주민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다문화 사회 정책의 과실(果實)이라 할 수도 있지만 통일 정책과 통일 교육에 있어 큰 문제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즉 같은 DNA를 가진 같은 민족이자 같은 한반도 주민이어도 북한사람은 다른 문화권에서 온 사람으로 취급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핏줄이 중요하지 않다면 필자와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인에게 별 차이가 없을 수 있다. 그렇다면 통일의 명분은 어떤가? 일반 미국인이 캐나다와 통일할 마음이 없고 일반 독일인이 오스트리아와 통일할 생각이 없듯이, 한국인들은 언어나 비슷한 핏줄이 있어도 정치와 사회가 다른 북한과 같이할 마음이 있을지 의심이 갈 때가 있다.

한편으로 다문화는 영국인인 나에게 바람직하고 유리하지만 최근 몇 주 동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문제 관련 보도를 보면서 통일은 여론조사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김 위원장의 건강으로 좌우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화체제, 교류와 협력 같은 정책대로 됐으면 하지만 북미 관계가 교착상태에서 탈피할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현실 속에서 흡연과 비만으로 살아가는 최고 존엄 김 위원장이 갑작스럽게 쓰러진다면 한국은 결정적 순간에 어떻게 할 것인지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

김 위원장이 오래 살다 보면 남북의 통일은 먼 미래의 통합, 통합은 점차 다른 나라 간의 협력과 교류로 변모될 수도 있다. 이는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 수많은 실향민이 점차 사라지고, 남한에서 나고 태어난 대다수 한국인의 소원일지 모른다. 결정적 변수는 북한 정권의 안정성이다. 한국 정부는 남북 통일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민해야 한다. 남북 교류를 통해 북한이 점차 개발되고 사회가 풀리는 게 가장 좋다. 하지만 다문화 사회, 세계 무역의 중심, 아시아에서 문화 강대국인 한국은 고립된 북한의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대응해야 한다.
2020-05-27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