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 무역합의 폐기 등 ‘제재 폭탄’ 예고… 홍콩 금융허브 지위 잃나

美, 무역합의 폐기 등 ‘제재 폭탄’ 예고… 홍콩 금융허브 지위 잃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5-27 18:04
업데이트 2020-05-27 2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콩보안법 놓고 美中 ‘강대강’ 지속

시진핑 “전쟁 대비 강화해야” 軍에 주문
백악관 “트럼프, 中에 불쾌” 초강수 검토
中 관리 자산동결·입국금지 카드 만지작
이미지 확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홍콩 국가보안법’ 표결을 하루 앞둔 27일 홍콩 시내에서 무장경찰이 보안법 반대 시위에 나선 시민들을 한 장소에 모아 놓고 감시하고 있다. 홍콩 AP 연합뉴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홍콩 국가보안법’ 표결을 하루 앞둔 27일 홍콩 시내에서 무장경찰이 보안법 반대 시위에 나선 시민들을 한 장소에 모아 놓고 감시하고 있다.
홍콩 AP 연합뉴스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강행에 대응해 강력한 제재 조치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떤 카드를 내놓을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구체적인 조치를 입에 올리진 않았지만 백악관과 언론매체를 통해 전해진 기류를 살펴보면 홍콩이 누려온 특별지위 박탈과 중국 관리의 미국 내 자산동결·입국금지, 1단계 무역 합의 폐기 등 ‘초강수’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시도에 불쾌해하고 있다. 중국이 홍콩을 장악한다면 홍콩이 금융 허브로 남을 수 있을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미 행정부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해 “국무부의 (홍콩 특별지위 폐지) 발표가 1주일 안에 나올 수 있다”면서 “미국이 지금 상황에서도 홍콩이 정치적으로 독립돼 있다고 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해 홍콩 시위가 격화돼 중국 정부의 무력 개입 가능성이 커지자 홍콩인권법을 제정했다. 홍콩의 자치권이 위협받으면 특별 지위를 철폐하는 것이 골자다. 이렇게 되면 중국 본토는 중요한 대중국 자본통로 하나를 잃게 된다. 중국은 상하이와 선전을 새 금융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지만 이들 도시가 미국과의 협력 없이 홍콩에 견줄 만한 위상을 갖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블룸버그는 이날 “미 재무부가 새 보안법 시행과 관련된 중국 관리와 기업, 금융기관에 대해 자산 동결과 입국 금지 등이 포함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협박용으로만 써 오던 미중 1단계 무역합의 폐기가 현실화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중국과 체결한 ‘1단계 무역합의’를 폐기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언급했다. 그가 지난 25일 트위터에서 “지난 50년간 조 바이든보다 더 중국에 약했던 사람은 없었다”면서 “그는 미국에 바가지를 씌우는 무역 합의를 포함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주었다. 그러나 나는 그 모든 것을 다 돌려받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소식통들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외부 세력이 홍콩에 개입하는 행위를 하면 우리는 필요한 조치로 반격할 것”이라면서 “홍콩의 국가안보를 수호하는 입법 과정은 순전히 중국의 내정”이라고 맞받아쳤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26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전체회의에서 중국군에 “훈련과 전쟁 대비를 강화해 국가 안정을 지켜야 한다”고 밝히며 홍콩·대만 문제에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시 주석은 지난 23일 중국공산당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연석회의에서도 “국내 수요 충족을 향후 발전의 출발이자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내수경제 활성화로 대미 의존도를 낮춰 경제 충격파를 덜기 위한 의도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5-28 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