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서울신문, 독립언론을 위하여/박록삼 논설위원

[서울광장] 서울신문, 독립언론을 위하여/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8-06 19:52
업데이트 2020-08-07 15: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논설위원
1991년 9월 ‘신문기자 김중배’(86)는 동아일보 편집국장직에서 내려오면서 한국 언론환경의 변화를 시사하는 퇴임사를 남겼다. “언론은 이제 권력과의 싸움에서 원천적인 제약 세력인 자본과의 힘겨운 싸움을 벌이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은 정치권력만이 아니라 자본권력이라면서 자본주의가 지속되는 한 자본의 압력은 영구적일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1987년 체제 탄생으로 절차적 민주주의 질서가 본격화되는 시점이었다. 당시 정치부 기자들은 ‘동교동계’니, ‘상도동계’니 하며 보수야당과 협력해 정부ㆍ여당에 맞서는 것이 정의의 전부인 듯 인식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듬해 재벌 회장이 신문사를 설립해 유력 대통령 후보가 됐고, 신문들은 넘쳐나는 광고를 주체하지 못해 조석간으로 지면을 늘려 나갔다. 불과 몇 년 뒤 외환위기에 대기업 광고주들이 도산하거나 어려움을 겪자 일부 신문사는 부채비율 수천%를 기록했다. 지면의 70% 가까이를 광고로 채우며 자본과 운명을 같이해 온 언론으로서 후과였다. 언론은 그럴수록 자본권력에 매달렸고, 저승사자 노릇을 하던 금융자본에도 쩔쩔매야 했다. 30년 전 이런 모습을 예견한 그의 퇴임사는 훗날 ‘김중배 선언’으로 불리게 됐다.

서울신문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았다. 116년이란 최고(最古) 역사를 가진 서울신문의 출발은 물론 달랐다. 서울신문의 전신은 일제에 맞서 조국과 민족의 독립을 열망했던 양기탁(1871~1938), 베델(1872~1909)이 1904년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다. 일제가 이를 빼앗아 간 뒤 총독부 기관지로 전환했고, 해방 이후에는 민족 정론지로서 활약했으나 4년 뒤 이승만 정부가 적산이라는 이유로 정부 기관지로 편입시켜 버렸다. 이승만-박정희-전두환-노태우-김영삼으로 이어지는 권위주의 정권의 나팔수 노릇도 톡톡히 했다.

하지만 1987년 6월 항쟁 이후 서울신문은 1989년 언론사상 초유이자 최장이었던 26일간의 총파업을 통해 편집권 독립의 의지를 안팎에 천명했다. 2001년에는 드디어 서울신문 구성원들이 퇴직금, 상여금, 기본급 등 연봉의 3분의1 이상을 탈탈 털어 지분을 매입했다.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은 39% 지분으로 1대 주주가 됐다. 독립언론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상여금 600%를 삭감했고, 임금을 동결시켰다. 새로운 정론지를 만들겠다는 꿈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구조가 바뀌자 변화와 혁신의 움직임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한국 언론 역사상 처음으로 사장 직선제와 편집국장 직선제를 실시하는 등 언론의 독립성, 공공성, 조직의 민주성, 자율성을 쌓아 나갔다. 정부는 2대 주주였지만, 재정 지원은 없었다. 정론지를 꿈꾸는 서울신문 구성원들 또한 바라지도 않았다.

정부 지분을 남겨 놓은 ‘미완성’ 민영화, ‘미완성’ 독립언론에서 20년의 세월이 흘렀고, 2017년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서울신문의 독립성을 보장할 방안을 마련한다”고 천명했다. 문재인 정부나 공공기관이 소유한 언론사 지분을 청산하려는 이유는 대통령 공약에 근거한 것이다. 서울신문 구성원과 독자들이 절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다만 그 방법과 절차가 문제다. 이미 자본에 장악된 언론시장에 신문사 하나를 더 보태 주는 것이라면 어떤 의미도 부여할 수 없다. 오히려 더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정부와 서울신문은 지분 양수도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 언론환경의 지향점이 어떤 모습인지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여론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의지는 얼마큼인지, 언론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은 어디쯤에 있는지 보여 줄 수 있다.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은 정부 지분을 스스로 인수하겠다고 지난달 31일 결의했다. 미완성의 민영화, 미완성의 독립언론을 완성하려는 것이다. 여기에는 서울신문 구성원들의 간절한 의지와 노력과 함께 정부가 줄탁동시(啐啄同時)하는 자세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병아리가 알을 깨기 위해서는 어미닭의 도움이 불가피하듯이 말이다.

2020년 자본주의가 고도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자본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언론의 독립은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럼에도 불가능해 보이는 꿈에 도전하는 이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자본의 요구를 당당히 거부하는 언론사,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사로 구현하는 언론사, 다양한 여론이 용광로처럼 녹아지는 비정파적 언론사, 다수의 이익을 추구하는 언론사 하나쯤 더 갖는 것은 한국 사회가 더 해볼 만한 도전 아닐까.

youngtan@seoul.co.kr
2020-08-07 31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