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팬데믹 1년, 온라인 강의 1년/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열린세상] 팬데믹 1년, 온라인 강의 1년/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입력 2021-04-11 17:32
업데이트 2021-04-12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작년 봄 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학에 온라인 강의를 도입하려고 논의하던 어느 날 한 동료 교수는 이번에는 교수법 혁신이 될 거라고 내다봤다. 그동안 많은 대학은 강의실 수업의 결함에 주목하고 무크(MOOC)와 같은 온라인 강의 시행을 시도했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 온라인 강의를 도입하면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던 오래된 강의실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인 교육이 가능할 거라고 봤지만 교수들의 호응이 낮았다. 하지만 이제 팬데믹 ‘덕분에’ 교수들은 온라인 강의와 새로운 교수법을 더는 거부할 수 없을 것이었다.

그의 전망대로 1년여가 지난 지금 대학 강의는 온라인 강의 일색이다. 특히 줌(Zoom)이라는 온라인 회의 앱이 거의 지배하고 있다. 많은 상대를 동시에 보면서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는 이 기술은 무엇보다 사용하기 간편하고 끊김과 느려짐도 적어서 안정적이다. 강의자료를 함께 볼 수도 있고 파일을 주고받고 채팅하는 것도 된다. 대면 강의를 상당 부분 모방한 이 비대면 강의 기술 덕분에 대학 교육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중단되지 않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수들은 멀리 가지 않고도 연구실에 앉아 해외학회나 연구회의에 손쉽게 참석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줌으로 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1년 넘게 해 온 입장에서 편리함만 보이는 건 아니다. 줌으로 강의하고 난 뒤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변화는 피로감이다. 3시간 동안 연이어 두 개의 강의를 하는 날이면 너무 지쳐서 거의 다른 일을 할 수 없다. 학생들도 강의 때 집중하기 힘들고 강의내용이 잘 기억에 남지 않으며 무엇보다 너무 피곤하다고 호소한다. 단지 모니터 스크린을 오래 보며 전자파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다. 그건 ‘줌 피로’(Zoom fatigue)라고 불리기 시작한 현상으로 다른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 디지털 시각 이미지에 의존해 의사소통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대면 만남에서 우리는 대화하면서도 상대의 목소리 톤과 리듬, 자세, 몸짓, 얼굴표정 등을 신호로 지각하며 대응한다. 이런 사회적 신호들을 보충해 음성언어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의미를 이해하고 상대의 눈과 입 주위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감정을 읽고 반응한다. 반면 온라인 강의에서는 디지털 신호의 지연으로 얼굴표정 등의 변화가 음성과 곧잘 어긋나고 미세한 변화는 감지하기도 어렵다. 우리의 뇌는 이 간격을 채우기 위해 평소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수밖에 없다. 결국 줌 강의는 대면강의보다 교수와 학생에게 더 큰 인지적 부담을 주고 그 결과 우리는 피로해진다.

획기적인 온라인 회의 앱이 만들어 준 강의실은 기존 강의실을 잘 모방했지만, 같을 수가 없다. 아무것도 아닌 작은 일에 웃음이 퍼져나가고 순간적으로 지적 에너지가 학생들 사이에 흐르는 그런 일은 이제 없다. 온라인 강의실은 잘 통제되고 고립된 공간이다. 학생들은 교수에게는 열심히 집중하지만 서로 간에 지적 우정 같은 것을 느끼기 어려워한다. 한 학생은 수강하는 친구들이 “같이 안에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고 한다. 대면 공동체에서 우리가 갖게 되는 그런 소속감을 학생들이 잘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조별과제와 토론을 함께 해도 동료는 그냥 스쳐 지나가는 사람일 뿐 지속될 관계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대학의 강의실은 무엇보다 함께 공부하며 서로 배우는 곳이다. 서로 다른 계급, 지역, 문화, 젠더에 속한 학생들이 서로 만나서 존중하면서 경청하고 신뢰하면서 토론하는 법을 배우는 곳이지만, 줌의 온라인 강의실이 이렇게 되기엔 역부족이다.

사실 대학에 온라인 강의가 전면 도입되고 일상화된 것은 엄청난 실험이지만, 팬데믹이 준 충격으로 무감각해져 있다. 작년에 입학해 올해 2학년이 된 이른바 ‘코로나 학번’의 한 학생은 온라인 강의가 강의실 강의보다 더 좋다고 한다. 소규모로 진행되는 대학 강의실의 토론식 수업을 경험하지 못한 채 이제 줌 강의에 적응해 버린 것이다. 갑작스런 팬데믹 이후로 안전의 가치가 최우선이 되면서 다른 가치들은 부차적인 것이 됐다. 팬데믹이 덮친 지 한 해가 지난 지금 안전을 생각하느라 대학 교육에서 우리가 잃은 것이 무엇인지 성찰하고 새로운 균형을 찾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논의해 봤으면 한다.
2021-04-1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