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관광 의존도 높은 강원도, 한중문화타운 딜레마 빠지다

수출·관광 의존도 높은 강원도, 한중문화타운 딜레마 빠지다

조한종 기자
입력 2021-04-21 15:16
업데이트 2021-04-21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중국 인민망스튜디오에서 강원 춘천 일대에 조성될 한중문화타운과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민망 동영상 캡처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중국 인민망스튜디오에서 강원 춘천 일대에 조성될 한중문화타운과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민망 동영상 캡처
대중국 수출과 관광객 유입 비중이 높은 강원도가 한중문화타운을 놓고 벌이는 논쟁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강원도는 21일 지역의 주요 산업인 수출과 관광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반중(反中) 정서 확산에 따른 후폭풍으로 한중문화타운이 어려움을 겪으며 강원경제 전반에 걸쳐 타격을 입지 않을까 걱정이다.

춘천과 홍천지역에서 추진 되는 한중문화타운(120만㎡)에 대해 ‘대단위 차이나 타운을 건설하려는 것이 아니냐’며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 전날까지 61만여명의 서명이 이어지고, 최문순 도시자 사퇴론까지 불거지고 있다.

하지만 강원도의 주요 산업인 수출과 관광의 대중국 의존도가 높아 사업을 중단하기도, 적극 추진하기도 어려워 난감한 실정이다. 수출은 연간 3~4억 달러로 국가별 수출액 규모에서 미국과 1,2위를 다투고 있다. 특히 화장품과 의약품 수출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 올들어 이들 분야에서 전년 대비 90% 가까이 늘었다. 관광객들도 강원지역 주요 겨울축제장과 스키장 등을 찾는 중국 관광객(유커)들이 해마다 1만명 안팎에 이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전에도 동북공정 등 역사왜곡 논란, 사드 배치 논란 당시에도 한한령 등의 국제관계에 영향을 받아 강원도가 추진하던 대중국 사업들이 많은 타격을 입었다. 실제로 강원도는 2014년부터 7년간 중국 자본과 3조 7000억원 규모, 5건의 투자 유치 협약을 체결했으나 당시 사회적 영향 등으로 투자가 성사되지 못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100% 민간투자 방식이기 때문에 강원도 예산은 1원도 없고 민간사업자가 1조원 중 6000억원의 자본을 유치하겠다는 구상 단계 사업이다”며 “잘못된 정보의 무분별한 확산으로 선의의 피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진화에 나섰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