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승범(왼쪽 네번째) 금융위원장이 15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금융플랫폼 혁신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금융사와 빅테크 업체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태훈(앞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 뱅크샐러드 대표,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 최인혁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고승범 금융위원장, 한동환 KB금융지주 부사장, 이상래 NH농협금융지주 부사장, 정순섭 서울대 로스쿨 교수, 김동성 현대카드 본부장, 이창희 한화생명 부문장, 황원철 우리은행 부행장, 전필환 신한은행 부행장,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신평호 금융결제원 본부장, 조방수 신용정보원 전무, 김호술 금융보안원 본부장.
고 위원장은 이날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금융 플랫폼 혁신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빅테크 기업의 금융업 진출은 동일 기능, 동일 규제와 소비자 보호 원칙이 지켜지는 가운데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업종이 다르더라도 빅테크나 핀테크사가 기존 금융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 같은 규제를 적용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재차 확인한 것이다. 대형 플랫폼 효과가 커지면서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독점이나 편향적 서비스 제공에 대해서는 영업 행위 규제 등을 통해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했다. 다만 고 위원장은 “금융위 디지털 전환을 위한 방향은 어느 한쪽을 제한하는 것보다 더 넓고 보다 높아진 운동장에서 경쟁하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KB금융·NH농협금융·신한은행·우리은행 등 기존 금융사와 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 등 빅테크가 이례적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기존 금융사들은 그동안 “당국이 금융혁신을 이유로 빅테크에만 유리한 시장 환경을 조성했다”고 불만을 표해 왔다. 핀테크 기업은 전자금융거래법만 지키면 되는 반면 금융사는 전자금융거래법에 더해 업권별 규제까지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빅테크 측은 혁신 서비스를 위해서는 “섣부른 규제보다는 산업 진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