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뉴스] “언제 어디서나 낮잠 가능 인재 찾아요” 美 침대업체 구인광고 화제

[나우뉴스] “언제 어디서나 낮잠 가능 인재 찾아요” 美 침대업체 구인광고 화제

입력 2022-08-14 17:23
수정 2022-08-14 1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의 한 침대 회사가 잠자는 일을 할 아르바이트(이하 알바) 직원을 구하고 나서 화제다.

CNN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뉴욕에 본사를 둔 매트리스 제조기업 캐스퍼는 최근 근무 중 수면이 주 업무인 알바 3명을 채용하는 구인 광고를 냈다.

구인 광고는 현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상에서 삽시간에 인기를 끌었다. 시간당 얼마를 줄지 급여조차 공개돼 있지 않지만, 근무 시간 대부분을 잘 수 있다는 점이 많은 누리꾼의 관심을 끌었다.

현재 회사는 알바 기간을 한 달로 정해놨지만, 성과에 따라 늘릴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알바생은 ‘캐스퍼 슬리퍼’라는 이름으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자사 매장 등 어떤 환경에서도 금세 잠들 수 있어야 한다. ‘월등한 수면 능력’과 ‘가능한 한 많은 수면 욕구’, ‘무슨 일이 있어도 잠드는 능력’ 등이 필요한 인재상이기 때문이다.

물론 업무는 수면만이 아니다. 잠에서 깨고 나서는 자신의 체험담을 숏폼 영상으로 제작해 SNS상에 올려야 한다.

따라서 회사는 알바 지원자들로부터 참신한 지원 영상을 받고 있다. 재키 트러스트라는 여성도 지원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지난 8일 영상에서 자신은 샤워부스 벽에 기댄 채 잠든 적도 있다며 자신의 탁월한 수면 능력을 과시했다.

채용된 알바는 추가적인 혜택도 받는다. 근무 중 잠옷과 같은 편한 복장을 입을 수 있고 회사 일부 제품도 무료로 쓸 수 있다. 심지어 근무 시간도 유연하게 바꿀 수 있어 아침잠이 많아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