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녀 임금격차 OECD 최대…38% 벌어져

한국 남녀 임금격차 OECD 최대…38% 벌어져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남녀 임금 격차가 가장 심한 것으로 2일 나타났다.

OECD는 최근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발표한 정규직 남녀 평균 임금 차 통계에서 한국 여성이 남성보다 38% 정도 덜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OECD 회원국 평균 격차가 17.6%라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경우 여성 정규직 근로자가 임금 면에서 적지 않은 차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1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2003~2006년 자료로 뽑아낸 이번 통계치에서 한국에 이어 남녀 임금 격차가 심한 국가는 일본으로 33%에 달했으며 독일(23.0%), 캐나다.영국(21.0%), 스위스.미국.핀란드(19.0%) 순이었다.

포르투갈(18.9%), 체코(18.0%), 스페인(17.3%), 호주.네덜란드(17.0%), 스웨덴(15.0%)도 남녀 임금 격차가 큰 편이었다.

조사 대상 21개국 가운데 남녀 임금 격차가 10% 미만인 국가는 벨기에(9.3%) 뿐이었다. 그만큼 남녀평등을 주창해온 선진국조차 남녀 간 임금 차별이 고질적으로 남아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측은 “2006년 이후 남녀 임금 격차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아직 한국의 직장 사회가 남성 위주로 돌아가고 있어 일정 부분 임금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나 고용평등지표 등을 통해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규직 근로자 평균 남녀 임금차>

(단위:%)



































































































































































































국가임금차연도
한국38.02006
일본33.02006
독일23.02006
캐나다21.02006
영국21.02006
스위스19.02006
미국19.02006
핀란드19.02005
포르투갈18.92003
체코18.02006
스페인17.32002
호주17.02006
네덜란드17.02005
스웨덴15.02004
아일랜드14.02006
헝가리13.22000
프랑스12.02005
그리스11.52003
덴마크11.02006
폴란드10.02004
뉴질랜드10.02006
벨기에9.32003
OECD 21개국

평균
17.6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