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이 여성 최고경영자(CEO) 시대를 열었다. 국내 10대 그룹 중 오너를 제외한 여성 CEO는 찾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두산캐피탈은 8일 이사회를 열어 정옥희(46) 전무를 신임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발탁했다. 두산그룹은 또 매킨지 출신인 강혜진(40)씨를 ㈜두산 전무로 영입하고, 자회사인 네오플럭스 이신영(46) 기획팀장을 ㈜두산 지주부문 상무로 선임하는 등 여성 임원들을 중용했다.
그러나 임원 전체로 보면 여성은 절대적으로 소수이다. 두산그룹의 전체 임원수는 400여명으로 이번 인사로 승진한 3명을 합쳐도 여성 임원 수는 전체의 1.25%인 5명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두산 관계자는 “글로벌 경영 시대에 역량을 갖춘다면 성별에 관계없이 CEO로 임명한다는 메시지를 그룹 내에 확인시킨 의미도 있다.”며 “앞으로 그룹 내에서 여성 임원들이 지속적으로 육성되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정 부사장은 “선진 금융 인프라 기반 구축에 주력하고 격동하는 시장과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맞서 변화하고 혁신하는 두산의 가치를 발전시키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