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휘발유 ℓ당 2천원대 주유소 등장

서울서 휘발유 ℓ당 2천원대 주유소 등장

입력 2010-05-03 00:00
수정 2010-05-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름 값 고공행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 시내에서 보통휘발유를 ℓ당 2천원대에 판매하는 주유소가 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 이후 처음 등장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영등포구 여의도동 경일주유소는 지난 주말부터 보통휘발유를 ℓ당 2,048원에 판매 중이다.

 그동안 서울 시내에서 ‘가장 비싼 주유소’ 자리를 지켜온 경일주유소는 지난달 말까지 보통휘발유를 ℓ당 1,998원에 판매하다 5월 들어 ℓ당 50원을 기습 인상했다.

 올해 들어 국제유가 상승세와 맞물려 국내유가도 지속적으로 올라 서울 시내에서 ℓ당 1,900원대에 보통휘발유를 판매하는 주유소가 잇따라 등장했으나 2,000원을 넘긴 곳은 없었다.

 업계 일각에서는 ‘고유가’의 상징처럼 여기던 ℓ당 2,000원대 벽이 깨지면서 서울 시내 주유소들 사이에 기름 값 올리기 경쟁이 불붙으면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과 비슷한 상황이 다시 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15일 서울시내 주유소의 보통휘발유 평균가격이 ℓ당 1,800원대에 올라선 이후 상승세를 이어오다 최근 조정국면에 들어 소폭 내렸다”면서 “주유소 평균가격이 최근 내린 상황에서 일부 주유소가 기름 값을 올린 것은 이례적이며,나름의 마케팅 전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일주유소 관계자는 기름 값을 올린 배경은 밝히지 않은 채 여의도동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ℓ당 160원을 할인해 주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석유공사의 주유소 가격 정보시스템인 오피넷(www.opinet.co.kr)에 따르면,1일 마감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의 보통휘발유 평균가격은 ℓ당 1,735.98원이다.지난달 25일 ℓ당 1,736.75원으로 단기 고점을 기록한 이후 소폭 내림세다.

 서울지역 주유소의 평균가격도 지난달 15일 ℓ당 1,800원대에 올라섰다가 지난달 27일부터 다시 1,700원대로 내려서 1일 현재 ℓ당 1,797.39원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오피넷에 따르면 전국에서 보통휘발유 값이 가장 비싼 곳은 제주 추자도 인양주유소로 ℓ당 2,100원에 판매 중이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