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직 바람이 40대를 강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직장인들의 ‘인생 2모작’도 40대부터 본격화하고 있지만 벌이는 ‘월급쟁이’ 때만큼 신통치 않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세청이 2008년 근로소득 연말정산 지급명세서 신고현황을 분석한 결과, 40대 근로소득자(직장인)는 전체 836만명 가운데 40.3%인 337만명에 불과했다.
30대는 절반이 넘는 52.4%(828만명 중 434만명), 50대는 30.1%(602만명 중 181만명)가 직장인이었다. 전체 인구는 40대가 30대보다 8만명 많지만 직장인 숫자는 30대가 40대보다 97만명이나 많은 것이다.
자영업자가 대부분인 종합소득세 신고자는 40대가 120만명으로 30대(88만명)보다 32만명 많았다. 40대 중에서 종합소득세를 납부하는 인구 비율은 14.3%로 30대(10.6%)나 50대(12.8%)보다 높았다. 40대부터 ‘인생 2모작’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국세청 관계자는 “퇴직 후 창업 등을 통해 자영업자로 전환하는 비율이 40대가 상대적으로 높아 이 연령대의 종합소득세 신고자가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직장인들이 퇴직 후 사업을 꾸리더라도 ‘주머니 사정’은 직장 다닐 때만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근로소득자의 평균소득은 2580만원이었지만 종합소득세 신고자의 평균소득은 2370만원에 그쳤다.
30대 미만의 경우 근로소득자의 평균소득이 1490만원인 반면 종합소득세 신고자의 평균소득은 980만원이었다. 30대는 2700만원-1810만원, 40대는 3400만원-2460만원, 50대는 3400만원-2900만원 등으로 직장인의 급여가 자영업자의 소득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김태균기자 windsea@seoul.co.kr
2010-06-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