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포스코에 따르면 아프리카를 방문 중인 정준양 회장이 지난 15일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을 면담하는 자리에서 원료개발 및 철강사업 진출과 관련한 협조를 요청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포스코는 이날 짐바브웨 자원개발 업체인 ‘앙코홀딩스’와 규석을 포함한 자원 공급 및 개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규석은 철강 합금철과 태양전지용 실리콘 제품 등에 쓰이는 광물로 세계 광산개발업체들의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짐바브웨는 순도 99.9% 이상의 고품질 규석이 대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 회장은 또 지난 14일 모잠비크를 방문해 신일본제철과 공동 투자한 레부보 석탄 광산을 둘러봤다. 포스코는 지난달 레부보 석탄광 일부 지분(7.8%)을 인수했고, 2014년부터 이곳에서 연간 500만t가량의 석탄을 공급받는다. 정 회장은 또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이동해 칼라하리 망간 광산을 둘러봤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 회장의 아프리카 방문은 호주와 미주 지역에 치중했던 자원개발 사업 영역을 아프리카로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종합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리튬과 마그네슘, 티타늄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의 자원개발 업체들을 파트너로 삼아 2014년까지 원료 자급률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난 1월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지분 3.75%를 매입했고, 11.25%를 더 사들일 계획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06-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