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생산은 글로벌 경제 위기 이전을 훨씬 웃도는 활황세를 보인 반면 중소기업은 최근에야 간신히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생산 증가율은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미치면서 위기 극복 과정에서 생산 격차가 확대된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제조업체 기준으로 2분기 대기업의 생산지수는 150.5로 글로벌 경제 위기 직전인 2008년 2분기(131.2) 대비 14.7% 증가했지만 중소기업은 124.5로 2년 전(117.3)보다 6.1% 늘어나는데 그쳤다.
생산지수는 원칙적으로 생산량을 기준으로 2005년 연간치를 100으로 잡고 산출됐다. 따라서 2분기 대기업 지수는 2005년보다 생산이 50% 가량, 중소기업 지수는 같은 기간 25% 정도 각각 증가했다는 의미다.
분기별 지수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대기업은 금융 위기 직후인 2008년 4분기 112.8(-13.3%)로 마이너스로 내려앉은 뒤 작년 1분기에 104.9(-16.9%)로 바닥을 찍는 등 작년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감소했다.
그 후 작년 3분기 132.9(7.4%)로 증가세로 돌아선 뒤 4분기 137.6(22.0%), 올해 1분기 136.9(30.5%), 2분기 150.5(20.9%) 등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증가율이 3분기 연속으로 20%를 상회했다.
반면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같은 때인 2008년 4분기에 110.8(-8.0%)로 마이너스 전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분기에 94.8(-15.4%)로 바닥을 확인한데 이어 작년 3분기까지 1년간 마이너스 늪에 빠져있었다.
작년 4분기 116.9(5.5%)로 간신히 플러스로 돌아선 뒤 지난 2분기에 124.5(18.1%)로 겨우 위기 이전의 지수를 회복했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생산이 마이너스에 빠진 기간이 1분기 길었고, 위기 이전의 최고 지수를 회복한 시기도 대기업은 2009년 3분기였던 반면 중소기업은 그보다 3분기 나 늦은 지난 2분기였다.
정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회복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라며 “자동차, 정보기술 분야의 수출 증가가 경기 회복의 동력이 된 만큼 상대적으로 경공업과 내수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에게 온기가 뒤늦게 전달됐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달초 562개 중소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차보다 2차 이하 협력업체들의 체감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수출기업과 연계된 중소기업보다 건설자재, 의류 등 내수 위주 업종의 회복세가 느린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
특히 중소기업의 생산 증가율은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미치면서 위기 극복 과정에서 생산 격차가 확대된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제조업체 기준으로 2분기 대기업의 생산지수는 150.5로 글로벌 경제 위기 직전인 2008년 2분기(131.2) 대비 14.7% 증가했지만 중소기업은 124.5로 2년 전(117.3)보다 6.1% 늘어나는데 그쳤다.
생산지수는 원칙적으로 생산량을 기준으로 2005년 연간치를 100으로 잡고 산출됐다. 따라서 2분기 대기업 지수는 2005년보다 생산이 50% 가량, 중소기업 지수는 같은 기간 25% 정도 각각 증가했다는 의미다.
분기별 지수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대기업은 금융 위기 직후인 2008년 4분기 112.8(-13.3%)로 마이너스로 내려앉은 뒤 작년 1분기에 104.9(-16.9%)로 바닥을 찍는 등 작년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감소했다.
그 후 작년 3분기 132.9(7.4%)로 증가세로 돌아선 뒤 4분기 137.6(22.0%), 올해 1분기 136.9(30.5%), 2분기 150.5(20.9%) 등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증가율이 3분기 연속으로 20%를 상회했다.
반면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같은 때인 2008년 4분기에 110.8(-8.0%)로 마이너스 전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분기에 94.8(-15.4%)로 바닥을 확인한데 이어 작년 3분기까지 1년간 마이너스 늪에 빠져있었다.
작년 4분기 116.9(5.5%)로 간신히 플러스로 돌아선 뒤 지난 2분기에 124.5(18.1%)로 겨우 위기 이전의 지수를 회복했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생산이 마이너스에 빠진 기간이 1분기 길었고, 위기 이전의 최고 지수를 회복한 시기도 대기업은 2009년 3분기였던 반면 중소기업은 그보다 3분기 나 늦은 지난 2분기였다.
정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회복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라며 “자동차, 정보기술 분야의 수출 증가가 경기 회복의 동력이 된 만큼 상대적으로 경공업과 내수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에게 온기가 뒤늦게 전달됐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달초 562개 중소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차보다 2차 이하 협력업체들의 체감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수출기업과 연계된 중소기업보다 건설자재, 의류 등 내수 위주 업종의 회복세가 느린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