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교수 ‘철밥통’ 깨진다…성과연봉·하위 10% 동결

국립대교수 ‘철밥통’ 깨진다…성과연봉·하위 10% 동결

입력 2010-10-11 00:00
수정 2010-10-11 1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철밥통 집단’으로 여겨져 온 국립대학 교수들에게 내년부터 성과연봉제가 적용돼 하위 10%는 연봉이 동결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1일 연구성과에 따라 보수를 차등화하는 ‘국립대학 교원 성과급적 연봉제’ 도입 및 운영계획을 확정하고 이 제도의 시행근거가 되는 공무원 보수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절차를 거쳐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과연봉제는 지난 1999년 일반직 공무원(4급 이상)을 대상으로 처음 도입됐으나 국립대학 교수사회에 적용되기까지는 10년 넘게 걸렸다.

 그동안 국립대 교원은 호봉을 기준으로 한 보수(봉급·수당)와 대학별로 자율화된 교수업적평가를 통한 연구보조비를 지급받아 왔다.

 애초 성과연봉제는 올해 하반기 신임교원을 시작으로 오는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의견 수렴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친 결과 내년부터 신임교원을 대상으로 적용하되 2012년 비정년교원,2013년 정년교원으로 대상을 넓혀 전면 시행시기를 2년가량 앞당겼다.

 교과부는 “이번에 설계한 성과급적 연봉제는 모든 국립대에서 동일한 기준에 따라 성과등급을 나누고 성과연봉의 일부가 다음연도 기본연봉에 가산됨으로써 호봉을 대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즉 성과연봉제 전환 1차연도의 최초기본연봉에다 최초성과연봉 중 일부를 더한 보수가 2차연도의 기본연봉이 되는 방식이다.

 성과등급은 상위 20%인 S등급부터 A(30%),B(40%),C(10%) 등 넷으로 나뉜다.S등급은 평균 성과연봉의 1.7배 이상,A등급은 1.2배 이상을 받고 B등급은 대학이 자율 결정한다.

 하위 10%에 해당하는 C등급은 성과연봉을 아예 받지 못해 다음해 기본연봉이 동결된다.

 S등급 중 특출한 성과를 낸 교원에게는 SS등급을 부여해 평균 성과연봉의 2.5배까지 지급할 수 있다.

 교과부는 “절반 정도는 현행 호봉제보다 연봉이 오르는 효과를 볼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최고·최저 성과연봉의 격차는 공기업(20%)보다는 적은 10% 안팎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과연봉을 정하는 평가 절차와 방법·단위·기준은 대학 특성에 따라 자율로 하되 특정 영역·지표에 가중치를 둘 수 있도록 했다.

 교과부는 “학부교육 중심대학은 강의 위주로 평가하고 연구중심 대학은 논문을 주요 잣대로 쓰면 된다.사회봉사나 산학협력,공동연구 등에 중점을 둘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지난 4월 시안 발표 이후 권역별 설명회,국립대 총장협의회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으나 교수사회 내부에서는 여전히 연구성과를 정량화해 평가하는 데 반발하는 기류가 있어 성과연봉제 도입에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이희원 서울시의원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 5억 6100만원 확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이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에서 동작구 관내 7개교에 대한 예산 총 5억 6100만원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확보한 주요 사업 예산은 은로초등학교의 미래 교육 환경 구축을 위한 시청각실 게시 시설(LED멀티비전) 개선 예산 1억 2500만원과 삼일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학 안전과 편의를 위한 정·후문 시설 개선 3500만원 등이다. 이 의원은 이 밖에도 ▲장승중 옥상 난간 등 위험 시설 개선 2500만원 ▲장승중 미끄럼 방지 시설 개선 2000만원 ▲서울공고 방진 시설 개선 1억 2000만원 ▲서울공고 배수시설 개선 4900만원 ▲영등포고 시청각실 게시 시설 개선 1억 3000만원 ▲성남고 운동장 스탠드 개선 3700만원 ▲동작중 미끄럼 방지 시설 개선 2000만원 등의 예산을 확보했다. 이 의원은 “그간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으로서 학교 안전과 교육 시설 현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라며 “앞으로도 쾌적한 면학 환경 조성을 위해 부모님들과 학생들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아직 관내에 시설이 노후한 학교가 다수 있는 만큼, 서울시교육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 5억 6100만원 확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