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중국산 풀어 마늘·무값 잡는다

또 중국산 풀어 마늘·무값 잡는다

입력 2010-10-20 00:00
업데이트 2010-10-2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치솟는 마늘값을 잡고자 중국산 1만 3000여t을 수입해 시장에 푼다. 중국 산둥(山東)성에서 재배된 무 100t도 들여온다. 배춧값이 안정되고 있는 반면 여전히 이상현상을 보이는 일부 농수산물 가격을 잡기 위한 긴급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19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어 마늘과 무, 명태, 오징어 등 평년보다 가격이 높은 농수산물에 대한 가격안정 대책을 곧 시행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3.6%까지 치솟았던 9월만큼은 아니지만 10월 소비자물가도 농수산물 가격 때문에 불안하다.”면서 “서민 생활에 부담을 주고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는 농수산물에 대해 수시로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늘은 올해 수입하기로 돼 있는 시장접근물량(TRQ) 등 1만 3000t 가운데 2200t은 깐마늘 형태로, 나머지는 통마늘 형태로 수입해 국내에서 깐마늘로 가공한 뒤 시장에 풀기로 했다. 깐마늘은 평년 가격이 ㎏당 6285원이었으나 현재 2배 가까운 1만 20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무는 지난 1일 정부의 수급대책 발표 당시 도매가격이 상품기준 개당 3266원이었지만 7일 4871원으로 최고가를 찍었다. 19일 현재까지 3143원으로 여전히 평년보다 높은 수준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무는 초기 작황에 따라 수확량이 크게 좌우되는데 처음에 워낙 안 좋았다.”면서 “제주도 월동 무가 나오면 좀 나아지겠지만, 김장철인 11월 말에도 평년수준을 웃도는 1500원 정도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명태와 오징어 등 가격이 오른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조정관세(명태 30%·오징어 22%)를 일시적으로 철폐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0-20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